오피니언 사설

검사 8억원 수수 의혹 철저히 규명하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현직 검사가 거액 수수 의혹으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2010년 ‘그랜저 검사’, 지난해 ‘벤츠 여검사’ 사건에 이어 또다시 수뢰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경찰은 “의혹에 연루된 검사가 3명 더 있다”며 수사를 확대할 태세여서 대형 사건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찰은 해당 검사가 실소유주인 것으로 추정되는 차명계좌에 다단계 사기범 조희팔의 측근과 유진그룹 측으로부터 각각 2억4000만원, 6억원이 입금된 정황을 포착한 상태다. 경찰은 검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검사는 “친구와 후배 돈을 빌려 전세금 등으로 쓴 것일 뿐 대가성은 없다”고 해명하고 있다. 그러나 사기범 측근 등에게서 수억원이나 되는 거액을 차명계좌로 받은 것이 사실이라면 수뢰 의혹 조사는 피하기 힘들다. 문제의 돈 거래에 대가성이 있는지, 경찰 발표대로 추가로 연루된 검사가 있는지 모든 의혹이 철저하게 밝혀져야 할 것이다. 검찰 수뇌부는 비위 스캔들이 매년 불거질 정도로 자정 능력을 잃은 현 상황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

 우리는 이번 사건을 검·경 수사권 다툼 차원에서 접근해선 안 된다고 본다. 대검이 어제 “독자적 수사권을 가진 특임검사를 지명해 철저하고 엄정하게 수사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검찰과 경찰 사이에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소모적인 논쟁으로 의혹 규명이란 사건의 본질이 흐려지는 일이 있어선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