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도 밀착 … 중국 샌드위치 견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5일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에서 열린 아셈(ASEM·아시아유럽회의) 정상회의 개막식에서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왼쪽)와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서로 외면한 채 지나치고 있다. [비엔티안 로이터=뉴시스]

만모한 싱 인도 총리가 오는 15일부터 18일까지 일본을 방문한다. 지난해 12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의 인도 방문에 대한 11개월 만의 답방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선 양국 간의 경제협력에 이은 외교안보 공조가 집중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중국의 해상 군사력 강화에 대한 협력 견제가 예상된다.

 두 나라는 동아시아·인도양의 대표적인 해상무역 국가다. 인도 대외무역의 97%, 일본 무역의 거의 전부가 해상을 통해 이뤄진다. 에너지 공급과 대외 수출입에서 해상 수송로 안정이 절실하다. 특히 페르시아만에서 인도양, 말레이시아 해협을 거쳐 남중국해로 이어지는 항로는 ‘바다의 실크로드’로 통한다. 남중국해에서 해상 군사력을 강화하는 중국에 공동대처가 절실한 이유다.

 게다가 일본은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로, 인도는 아루나찰프라데시주 문제로 중국과 대립해 왔다. 일본은 해상에서, 인도는 육상 국경에서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경제·외교·안보에서 협력 강화로 중국을 견제하자”는 공동의 목표가 만나는 지점이다. 아사히신문은 일본-인도의 협력 확대에 대해 “군사적으로 대두하는 중국을 의식해 관계를 강화하면서 거대한 인도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목적이 깔려 있다”고 분석했다.

 16일 정상회담에선 이와 관련, 해상안전협의기구 출범이 선언될 것으로 보인다. 이 양자기구에선 양국의 합동 군사훈련 정례화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이미 지난 6월 도쿄 부근 해상에서 첫 합동 군사훈련을 했다. 일본은 미국 주도의 대테러 해상훈련 일환으로 인도양에 해상자위대를 파견한 바 있다. 인도와 합동훈련이 정례화된다면 해상자위대의 ‘평화 수호’ 활동범위가 인도양까지 넓어지는 셈이다. 여기에 일각에선 인도와 일본이 공동방어체제를 개발하는 방안도 제기하고 있다. 양국은 이스라엘·미국과 미사일방어(MD)체제에서 협력하고 있다.

 이번 공동성명에선 경제협력 강화도 선언된다. 특히 인도가 일본에 희토류를 공급하는 방안이 공식 선언된다. 양국은 인도 자원개발공사와 일본 도요타통상이 합작사를 설립하고 여기서 생산되는 희토류를 연간 4000t씩 일본에 수출하는 협력사업을 구상해 왔다. 일본의 연간 희토류 사용량 중 15%에 달하는 규모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견제로 곤욕을 치렀던 일본으로선 수입처 다각화에 성공한 셈이다. 인도와 일본의 교역은 지난해 178억 달러에 이르렀고, 2014년엔 250억 달러로 예상된다.

 밀착하는 일본-인도의 움직임에 중국도 바짝 경계심을 보이고 있다. 지난 9월 량광례(梁光烈) 국방부장이 중국 국방부장으로서는 8년 만에 인도를 방문해 국방장관 회담을 했다. 량 부장은 당시 중국이 인도를 견제하기 위해 인도양 연안에 해외 군사기지를 건설할 것이라는 관측을 공식 부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