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용지 인기몰이…분양만 하면 경쟁률이 수백대 1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황정일기자]

은퇴를 앞둔 최민영(56·서울 동작구)씨는 요즘 주말이면 수도권 택지개발지구 내 단독주택용지를 보러 다닌다. 다가주택이나 상가주택을 지으면 주거와 임대수익을 동시에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최씨는 “자녀가 사는 서울에서도 멀지 않고 편의시설은 물론 보안문제도 예전의 단독주택과는 많이 다른 것 같다”고 말했다.
도심 인근 택지개발지구 내 단독주택용지가 주택 수요자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은퇴를 앞두고 있는 중·장년층이나 도심의 획일적 아파트 생활에 지친 사람이 늘고 있어서다.

경쟁률 수백대 1에 달해

실제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이달 4일 아산시 탕정지구에서 청약 접수를 받은 단독주택용지 84필지는 평균 47 1, 최고 478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6월 청주시 율량2지구에서 공급된 단독주택용지(101필지)도 평균 313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공공택지 내 단독주택용지는 도심 접근성이 좋은 데다 주거 쾌적성이 높고 원룸이나 상가를 들여 임대수익을 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분양가도 감정평가로 정하므로 주변 일반 땅값보다 10% 정도 싸다.
게다가 지난해 5월 규제완화로 공공택지 내 신축 단독주택 층수가 1개 층씩 올라가고 가구 수 제한이 폐지됐다. LH 판매기획처 김진회 부장은 “직접 살면서 임대수익을 낼 수 있고 규제완화로 투자여건도 좋아져 단독주택용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공공택지 내 단독주택용지는 크게 두 가지다. 주택만 지을 수 있는 ‘주거전용’과 건축 연면적의 40% 이내에서 상가를 들일 수 있는 ‘점포겸용’이다. 주거전용에서는 3층 이하, 점포겸용에서는 4층 이하로 각각 신축할 수 있다. 용지 크기는 보통 330㎡ 정도다.
주택은 용지 계약자가 직접 신축해 입주·임대하면 된다. 현재 LH와 서울시 SH공사 등이 분양 중인 단독주택용지만 전국 20여 개 공공택지에 2500여 필지에 이른다.

연말 1020필지 추가 분양


서울에서는 강남구 강남보금자리지구와 은평구 은평뉴타운(한옥전용)에서 단독주택용지가 분양 중이다. 강남지구 용지는 주거전용으로 분양가가 10~14억원 선이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 고양시 원흥보금자리지구와 김포시 한강신도시, 지방에서는 대구시 금호지구와 아산시 배방지구 등지에서 분양 중이다. 김포 한강신도시 용지는 점포겸용으로 크기는 261~465㎡이고 분양가는 41250~92000만원 선이다. 미분양 용지는 누구나 계약할 수 있고, 분양가를 24~60개월간 무이자로 나눠낼 수 있다.
연말에는 세종시와 인천시 청라지구, 부산시 명지지구에서 단독주택용지 1020필지가 분양된다. 신규 분양 용지는 지역에 따라 청약자격이 다르기도 한다. 예컨대 서울·수도권에서는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무주택 세대주에게 우선권(1순위)이 있다.일부 지방에서는 청약제한이 없는 경우도 있다.

부동산컨설팅업체인 나비에셋 곽창석 사장은 “단독주택용지도 필지별 입지여건이 천차만별이므로 직접 방문해 살펴본 뒤 대중교통이나 편의시설 이용이 편리한 필지를 선택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 주거는 물론 임대수익을 얻을 수 있어 도심 인근 공공택지 내 단독주택용지가 큰 인기다. 사진은 단독주택 신축 공사가 한창인 경기도 성남시 여수지구 단독주택지.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