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흡연 조심할 곳은? PC방 실내, 어린이집 주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경기도 고양시에서 시행한 간접흡연 노출 수준 측정 결과, PC방에서의 농도가 가장 높았고 법정 금연구역인 어린이집과 공공기관에서는 실내 대비 건물 주변 실외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양시 학술용역사업의 일환으로 국립암센터가 수행한 ‘간접흡연 노출 수준 모니터링 및 수행효과 평가’보고서의 내용으로, 27일 오후 1시 30분 고양시청에서 개최되는 보고회에서 발표됐다.

간접흡연 노출 수준은 고양시 관내 대형건물, 공공기관, 어린이집, PC방, 학원, 식당, 택시와 학교, 버스정류장, 지하철, 공원, 주유소 등 공공장소 163곳 (장소별 1-4개 위치 측정)을 대상으로 측정되었다. 간접흡연 노출 지표로서 공기 중의 흡연관련 입자상 물질(PM2.5)과 니코틴, 그리고 담배 연기에도 포함되어 있는 발암물질인 벤젠 등의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측정 장소에 상시 체류하는 사람에서 채취한 머리카락내의 니코틴 농도와 소변의 코티닌 농도도 함께 측정하여 비교했다.

발표에 따르면 PC방에서 공기 중 흡연관련 입자상 물질(PM2.5)농도와 니코틴 농도가 가장 높았는데, 니코틴 농도는 45.32㎍/㎥로 아일랜드에서 술집이 전면 금연구역으로 지정되기 이전의 평균 값인 35.81㎍/㎥보다 1.3배 정도 높았으며, 흡연관련 입자상 물질 농도도 18.31㎍/㎥으로 세계보건기구 기준인 25㎍/㎥보다 낮기는 하였으나 이번 학술용역사업에 포함된 측정 대상 장소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PC방 다음으로는 택시 내부 공기의 니코틴 농도가 두 번째로 높았으며, 이어 대형건물, 식당, 학원, 공공기관, 어린이집 순이었다. 흡연관련 입자상 물질 농도 또한 PC방이 가장 높았고, 이어 식당, 학원, 택시, 공공기관, 대형건물, 어린이집 순으로 높게 나타탔다.

또한 측정 당시 담배연기나 담배꽁초와 같이 흡연의 흔적이 나타난 곳이 그렇지 않은 곳에 비하여 공기 중의 흡연관련 입자상 물질(PM2.5)과 니코틴의 농도가 각각 2.4배, 1.3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머리카락의 니코틴과 소변내 코티닌 수치도 각각 4배, 76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실외보다는 실내에서, 법정 금연구역에 비해 법정 금연구역이 아닌 장소에서 간접흡연 노출 수준이 높았다. 특기할 사항은 법정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는 어린이집과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실내 간접흡연 노출 수준이 실외 공간에서 보다 더 낮게 나타난 것이다.

이번 연구 용역 결과는 건강도시(암예방도시)의 1단계 사업으로 ‘비흡연 도시화’를 계획 중에 있는 고양시의 법정 금연구역 지정에 필요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 법정 금연구역 지정 노력의 당위성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인기기사]

·의사수가 부족하다고? 정작 심각한 건 '불균형' [2012/09/27] 
·한독약품, 사노피 합작관계 정리…M&A 준비중 [2012/09/27] 
·와인 마시며 젊은 의사들의 축제 즐겨볼까? [2012/09/27] 
·간암 생존기간 연장, 新항암치료법 [2012/09/27] 
·지방병원 관계자 400명 대전에 집결한 이유 [2012/09/27] 

정심교 기자 simkyo@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