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안 되는 낙동강 공원…국토부, 현장점검 착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중앙일보 9월 24일자 영남판 1면.

국토해양부가 낙동강 생태공원 관리 실태에 대한 현장점검에 착수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26일 “태풍 산바로 침수된 곳이 많아 피해 상황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는 데다 낙동강 생태공원의 평소 관리 부실을 지적한 언론보도가 나와 현장 점검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복구 등의 계획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생태공원의 관리부실과 하자에 대해선 시공업체를 통해 보수하고 태풍 피해는 예비비 등을 투입해 복구할 방침이다. 앞서 본지는 낙동강 생태공원 20여 곳을 취재한 뒤 상습 침수에 취약한 문제점과 부실한 관리 및 낮은 활용도 등을 지적하는 기사를 보도했었다.

 경남 창녕군 길곡면 노고지리 공원의 경우 농구장·인라인스케이트장·피크닉장 등이 설치돼 있지만 이용객이 거의 없었다. 길곡면 전체 인구가 1400명에 지나지 않는 데다 주민 대부분이 고령자여서 인라인스케이트장 등 은 그림의 떡이나 마찬가지인 상황이다.

 지자체들의 관리 예산 부족도 문제로 드러났다. 낙동강에는 4대 강 사업으로 110개 지구에 생태공원이 완공됐거나 이달 말 완공을 앞두고 있다. 개정된 하천법에 따라 각 생태공원의 관리권은 7월 1일부터 국토관리청에서 관할 지자체로 차례로 이양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는 “예산은 조금밖에 안주고 관리 책임만 떠넘기면 어떻게 하느냐”며 고충을 호소하고 있다.

 경남 의령군 지정면 호국의병의숲 공원의 경우 올해 국비 1억4000만원을 지원받았지만 필요한 액수 9억원에 크게 못 미쳤다. 의령군청 관계자는 “예산이 모자라 풀베기 등 기초적 관리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각 지자체들이 요구한 낙동강 생태공원 전체의 관리비를 합하면 연간 400억원에 이른다.

 이 밖에 상당수의 생태공원은 접근성이 떨어져 이용객으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현상도 취재 결과 드러났다. 본지의 낙동강 생태공원 현장점검 보도는 지역 현안을 심층적으로 취재하고 그 결과를 지역 독자의 수요에 맞게 특화된 기사로 내보내는 지역별 기획보도의 일환이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