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넘은 전동차 132량, 부품교체 시기 7년 → 5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지난해와 올해 세 차례 화재사고가 나면서 부실점검 논란을 빚은 부산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에 대한 종합안전대책이 나왔다.

 부산교통공사는 지난달 27일 서대신동역을 출발해 대티역으로 가던 1161호 전동차에서 불이 난 것을 계기로 1호선 전동차의 대수선 주기를 7년에서 5년으로 앞당기기로 했다고 2일 밝혔다. 대수선은 내구연한 25년이 된 전동차를 차량 뼈대만 남기고 견인전동기·회로차단기 같은 주요 부품을 대부분 교체하는 걸 말한다.

 1호선 전동차 360량 가운데 현재 132량이 내구연한을 넘겼고, 내년이면 추가로 54량이 내구연한을 채운다. 교통공사는 내년까지 186량의 대수선에 419억원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전동차 1량에는 1만2000여 개의 부품이 들어 있다.

 교통공사는 집전장치인 팬터그래프 절연애자의 성능을 정밀 계측하고 검수주기도 줄일 방침이다. 지난달 27일 화재 사고는 절연애자가 낡아 전기선이 끊어진 게 원인이었다. 하지만 교통공사는 그동안 절연애자를 포함한 팬터그래프에 대한 점검을 외주업체에 맡겨 2, 4년마다 중간·정기검수를 해왔다. 문제는 이런 검수를 통해 절연애자 내부의 미세한 균열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팬터그래프에서 분리한 애자를 물로 씻은 뒤 외관상 이상이 있는지 살펴보는 수준에 그쳤기 때문이다. 비파괴 검사 등으로 점검 방법이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 이유다.

 또 화재로 전동차 지붕에 구멍이 나는 것을 막기 위해 지붕에 코팅재를 바르거나 과전류가 흐르면 저절로 차단되는 회로차단기의 성능을 높이기로 했다.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변전소 정류기 교체주기도 12년에서 6년으로 줄이기로 했다. 1호선에는 6곳에 정류기 교체기가 설치돼 있다.

위성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