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문수 “박근혜 대세론 불안” 박근혜 “네거티브에 굴복 안 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새누리당 대선 경선 주자들이 6일 서울 방이동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 황우여 대표의 인사말 뒤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부터 김문수·박근혜· 안상수·김태호·임태희 후보. [연합뉴스]

대선 경선 파행 사흘 만에 재개된 6일 새누리당 합동연설회에선 ‘돈 공천’ 의혹이 최대 쟁점으로 등장했다. 박근혜 후보는 이날 웃음기 없는 얼굴로 연단에 섰다. 그는 먼저 이번 ‘돈 공천’ 의혹에 대해 “사실 여부를 떠나 이런 얘기가 나오는 것 자체가 국민과 당원께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전날 ‘20대 정책토크’에 이어 두 번째 사과 발언이다.

 그러면서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중대 범죄”라며 “모든 것을 빠른 시일 내에 밝혀 관련된 사람은 엄중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했다. ‘멘붕(멘털 붕괴·정신적 충격)’이란 표현도 다시 썼다. “네거티브에 너무 시달려 ‘멘붕’이 올 지경”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런 것에 절대 굴복하지 않겠다” “국민을 위해 할 일이 많다”는 말도 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 캠프에선 “비박(非朴)계가 주장한 후보 사퇴론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다른 주자들은 계속 ‘박근혜 책임론’을 강하게 제기했다. 김문수 후보는 “최근 (여권의) 여러 비리 문제 등으로 박근혜 대세론이 어려움에 부딪혔다. 솔직히 불안하다”고 했다. 그는 박 후보가 비박 주자들의 경선 보이콧에 대해 “당을 망친다”고 말한 걸 거론하면서 “나는 입당한 지 19년 되고, 박근혜 후보보다 4년 빨리 입당했는데 한 번도 탈당한 적이 없다. 박 후보는 자기 마음대로 안 된다고 탈당했다. 저를 보고 당을 망친다고 하는 사람이 누구인가”라고 되물었다. 그가 박 후보의 탈당 전력을 거론하자 박 후보 지지자가 다수인 청중석에선 “조용히 해” “나가라” 등의 야유가 나오기도 했다.

 김태호 후보는 “당명까지 바꾸면서 쇄신을 얘기했는데, 당 쇄신의 뒷자락에선 국회의원을 돈을 주고 팔고 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본다. 민주주의를 팔고 사고 있다. 성매매보다 더 나쁘다. 사실이라면 전자발찌라도 채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근혜계는) 대선에 이긴 듯 거만하게 행동하고 있다. 당이 사당화됐고, 민주주의가 실종됐으며, 눈치 주는 사람과 눈치 보는 사람이 있다. 원칙, 원칙 하면서 불통·먹통 이미지를 더해 가고 있다”며 박 후보를 공격했다.

 임태희 후보도 “(돈 공천 의혹에 대해) 책임질 사람들이 반드시 책임져야 국민에게 표를 달라고 호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도대체 공천에서 돈이 오가는 게 웬일인가. 우리가 땀 흘려 치르는 경선을 송두리째 물거품으로 만들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앞으로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엄청난 파동이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다”고 했다.

 반면 안상수 후보는 현안에 관한 언급 대신 “저만이 가계부채를 해결하고 국민경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정책·공약 홍보에 주력했다.

 ◆비박 주자 공세에도 온도차=요즘 박 후보와 가장 자주 충돌하는 이는 임태희 후보다. 그는 경선을 일단 정상화하기로 합의한 5일 연석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박 후보가 ‘책임질 일 없다’고 했다”고 말해 박 후보 캠프와 마찰을 빚었다. 박 캠프는 “그런 말 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6일엔 라디오 인터뷰에서 현기환 전 의원을 박 후보의 ‘메신저’로 지목했다. 합동연설회에선 박 후보를 ‘절대군주’로 표현했다. 당초 그는 비박 주자 가운데 특별히 ‘강성’으로 분류되진 않았다. 그는 경선룰 논란에서도 이재오·정몽준 의원과 보조를 맞추지 않았다. 그런 임 후보가 가장 집요하게 박 후보를 공격하자 당 일각에선 청와대의 기류가 반영된 게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 임 후보는 대통령 비서실장 출신이다.

 김문수 후보는 연설이나 인터뷰에선 박 후보에게 맹공을 펼치면서도 박 후보와 대면하거나 동석하면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이다. 5일 연석회의에선 밝은 표정으로 박 후보를 향해 “정책토크 하는 걸 봤다”고 인사를 건네기도 했다. 김태호 후보도 ‘박근혜 책임론’을 처음 거론했지만 박 후보 개인을 공격하기보다 제도 개혁에 방점을 두고 있다.

이소아·손국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