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 45%, 정부 과기정책 낙제점 평가

중앙일보

입력

현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정부출연연구기관 종사자 10명중 4명 이상이 낙제점(F)을 줬다.

전국과학기술노동조합(위원장 장순식)은 지난달 전국 16개 출연연의 연구직 394명, 기술직 106명, 기능직 149명, 행정직 107명, 비정규직 76명 등 모두 870명(조합원 576명, 비조합원 293명)을 대상으로 현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에 대해 조사한 결과응답자의 45%가 낙제점을 매겼다고 19일 밝혔다.

설문에 따르면 정부의 집권후반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평가에서 조합원의 53%,비조합원의 35%가 F를 줘 평균 45%(392명)가 낙제점 평가를 내렸으며 아주 잘했거나보통인 A-C점로 대답한 경우는 전체의 17%(비조합원 27%)인 151명에 불과했다.

출연연 경영진의 기관운영에 대한 평가에서는 조합원과 비조합원을 합쳐 응답자의 30%인 258명이 F, 33%인 290명이 D를 줘 기관장에 대한 직원들의 경영불신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연연의 현안으로 떠오른 기관고유사업비의 수시배정 방침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1%인 791명이 반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직원의 사기저하, 이직률 증가 등 연구환경의 황폐화가 초래되고 있다는 응답(중복응답)이 64%(555명)를 차지했으며 37%(326명)는 출장중단과 재료구입 차질 등 연구활동 중단의 부작용을 들었다.

이사회 체제개편으로 인한 정책의 일관성, 연구환경 및 기관운영의 자율성이 얼마나 좋아졌느냐는 질문에는 전체의 61%인 532명이 악화됐다고 응답했으며 전과 달라진 것이 없다는 의견도 26%인 230명이나 됐다.

다른 직장으로의 이직에 대해서는 `현재 이직 고려중'' 5%(46명), `기회오면 이직''이 45%(393명)로 나타났으며 이직 이유에 대해서는 `고용불안 및 신분보장 미흡,연구환경 황폐화''를 꼽은 경우가 전체의 66%(573명.중복응답)에 달했다.

이밖에 이직했을 경우 선호하는 직장으로는 창업이 42%인 368명으로 조사돼 여전히 창업 열기가 식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 연구기관 및 국내 대학교나 대학연구소를 선택한 응답자는 30%(261명)에 머물렀다. (대전=연합뉴스) 김길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