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글로벌 아이

‘담대한 희망’ 없는 미국 대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42면

박승희
워싱턴총국장

지난 일요일 버지니아주 매클린 인근의 리버벤드 공원에서 일본 요미우리 신문의 워싱턴 특파원을 만났다. 서로 워싱턴 생활의 애환을 주고받던 중 미국 대선 얘기가 나왔다. 공교롭게도 그와 내 입에선 동시에 “재미가 없죠”란 말이 튀어나왔다. 진단도 일치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맞선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의 파이팅이 부족하다는 거였다.

 선거를 스포츠와 비교하면 정치인들이 싫어하겠지만 경쟁의 묘미는 챔피언보다는 아무래도 도전자 쪽이다. 특히 경제가 바닥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미국 상황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미국인들은 4년 전 오바마가 그랬던 것처럼 새로운 희망의 불을 지펴줄 누군가를 찾고 있다. 도전자에겐 이보다 유리한 상황이 없다.

 27일 롬니를 지척에서 다시 볼 기회가 있었다. 백악관에서 30마일 남짓 떨어진 버지니아주 스털링시의 한 공장 창고에서였다. 경제를 캐치프레이즈로 내건 롬니는 공장 창고를 유세장으로 즐겨 이용한다. 오랜만에 본 롬니의 얼굴은 전보다 까매 있었다.

 “오바마는 연방정부를 키우고 기업들의 선택에 간섭하고 있다. 그건 선조들의 건국이념에 맞지 않는다. 나는 자유시장경제(free market system)를 되살리겠다….”

 ‘미국인에게 일자리를’이란 표어를 내걸고 한 18분의 연설에서 그는 15분간 경제를 말했다. 절실한 주제였다. 하지만 동어반복이었다. 매끈한 연설이었지만 400여 명의 청중 가슴에선 불길이 피어오르지 않았다.

 6월 4일자 타임지는 그 해답을 롬니의 어머니에게서 찾았다.

 1970년 영화배우 출신인 레노레 롬니는 미시간주의 연방 상원의원 선거에 출마했다. 남편인 조지 롬니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지 2년 만이었다. 22세의 막내아들 롬니는 대학까지 휴학한 채 어머니의 선거캠페인을 도왔다. 하지만 그 선거는 그에겐 트라우마였다. 그해 7월 유세 중에 반대 진영의 한 남자가 크림파이를 들고 롬니에게 달려들었다. 가까스로 파이 세례를 피하는 청년 롬니의 모습을 한 지방 잡지가 찍었다. 낙선한 어머니는 캠프 해단식에서 눈물을 쏟았다. 당시 어머니는 경쟁 후보보다 같은 공화당 내 보수세력에 더 시달렸다고 토로했다. 사랑하는 어머니의 실패를 보면서 젊은 롬니는 ‘수비 위주’의 정치를 배웠다. 도전적이기보다는 실수를 줄이는 정치, 좀 밋밋하더라도 안전운행을 하는 정치였다.

 미국 대선은 겨우 4개월 남았다. 오바마가 이길지, 롬니가 이길지 승부의 추는 기울지 않았다. 누구의 당선이 태평양 건너 한국에 유리할지를 따지며 지켜볼 뿐이다. 다만 한 가지. 11월까지 워싱턴 특파원들은 미국 대선으로 밥상을 차려야 한다. 주식재료가 시원찮으면 부식거리를 고민해야 한다. 롬니가 그 고민을 덜어줄 거라고 기대하는 건 현재로선 난망하다. 4년 전의 『담대한 희망』처럼 미국인들의 가슴을 뛰게 할 뭔가가 아직 미국 대선에선 보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