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실비실 파넨카 킥, 효과는 어마어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8면

세르히오 라모스(오른쪽)가 파넨카 킥으로 골을 성공시키고 있다. [AP=연합뉴스]

‘파넨카 킥’이 유로2012의 최고 히트상품으로 떠올랐다. 파넨카 킥은 승부차기에서 칩슛으로 공을 한가운데로 차는 기술로 1976년 유럽축구선수권대회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의 안토닌 파넨카가 처음 시도했다. 28일(한국시간) 유로2012 준결승에서는 스페인의 세르히오 라모스(26·레알 마드리드)가 네 번째 키커로 나서 파넨카 킥을 성공시켰다. 25일 열린 8강전에서도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피를로(33·유벤투스)가 멋진 파넨카 킥을 선보였다.

 페널티킥 지점에서 골문까지의 거리는 11m. 공이 골문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0.4~0.5초다. 반면 골키퍼의 반응속도는 0.6초 정도다. 공의 방향을 보고 막아내기란 어렵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골키퍼는 키커가 공을 차기 직전에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몸을 날린다. 파넨카 킥은 이런 골키퍼의 성향을 이용한다. 키커는 공의 한가운데 밑을 ‘툭’ 하고 가볍게 차 올린다. 공은 완만한 포물선을 그리면서 균형을 잃은 골키퍼 옆을 지나쳐 골문 안으로 비행한다. 허를 찔린 골키퍼는 뻔히 보면서도 당하게 된다.

 그러나 살 떨리는 승부차기에서 대놓고 한가운데로 공을 차기란 쉽지 않다. 골키퍼가 키커의 의도를 알아채고 가만히 있을 경우, 공은 골키퍼의 가슴에 안긴다. 키커뿐 아니라 보는 사람도 민망한 킥이 되고 만다. 그래도 선수들이 이 킥을 사용하는 이유는 성공할 경우, 상대에게 심리적인 압박감을 주기 때문이다. 라모스와 피를로가 파넨카 킥을 성공시킨 후 상대 키커들이 모두 실축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한국에서는 1997년 컵대회에서 포항 소속이던 FC 서울 박태하 코치가 성공시킨 적이 있다. 그는 부산과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1번 키커로 나서 능청스럽게 파넨카 킥을 성공시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