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 칼럼] 지역아동센터 지원은 미래 안전 위한 투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11면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법에 의한 복지시설로 가정에서 적절하게 돌봄을 받지 못하는 아동·청소년을 위한 ‘공부방’ 성격을 갖고 있다. 저소득가정·다문화가정·장애가정뿐만 아니라 생계형 맞벌이 등 부모가 적절하게 돌보지 못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양육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정의 아동·청소년이 이용한다. 방과 후 집에서 제대로 보살핌을 받지 못하는 어린이들은 지역아동센터에서 간식을 먹고 공부를 하며 수다를 떨기도 한다. 또 미술이나 음악·풍물·체육 등 각종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저녁식사까지 마치고 집으로 돌아간다. 이와 함께 다문화가정이 많은 지역의 아동센터에서는 우리말이 서투른 어린이들을 위해 언어치료도 병행하고 있다.

현재 사회적 돌봄이 필요하다고 표현되는 아동을 180~240만명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통계청 등의 조사결과를 보면 아동 빈곤율은 10% 안팎이다. 그 중에서도 절대빈곤이라고 할 수 있는 최저생계비 이하 가정 아동이 120만명 정도다. 상대적 빈곤율을 적용하면 180만명 이상의 아동이 빈곤상황에 처해있고 돌봄이 필요한 아동까지 합치면 240만명 이상의 아동이 ‘돌봄 시스템’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사회의 미래인 아동을 위해 투자해야 한다’는 구호가 무색하듯 돌봄 체계 안에 들어와 있는 아동은 30만명을 채 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더욱이 이달부터 전국의 모든 초·중·고교에서 주5일제 수업이 시행되면서 지역아동센터는 훨씬 더 붐빌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각 학교마다 토요일 프로그램을 마련, 운영하고 있지만 어린이들을 다 수용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지역아동센터의 역할은 늘어날 수밖에 없어 보인다.

김영애 아산시의원

그러나 주말에도 문을 여는 지역아동센터는 1400여 곳 전체의 40% 수준이다. 이들에게 지역아동센터는 유일무이한 안전망 구실을 하고 있으나 국가차원에서의 지원은 야박할 정도이다.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제자리걸음에 그치고 있는 것은 아쉽고 안타까운 일이다. 현재 정부의 지역아동센터 운영비 지원 예산은 695억원으로 1곳당 월 평균 370만원 가량. 센터장과 생활복지사 등 2명의 인건비에다 25명 안팎 아동의 운영비(생활비), 사교육을 대체하는 프로그램 운영비 등에 턱없이 모자란 액수다. 우리의 아이들을 키우는 일에 이렇게 소홀해도 되는 것인가 절망스런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 현실에서 지역아동센터는 가정에서 돌볼 수 없는 아이의 ‘바닥 안전망 구실’을 하고 있다. 가정에서 돌볼 수 없는 아동을 사회가 키울 수 있는 기반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빈곤층 어린이를 방치할 경우 부모의 빈곤이 대물림 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점에서 지역아동센터의 기능은 한층 더 강화돼야 할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지역아동센터는 단순히 ‘내 울타리 안’에 들어온 아이들을 잘 돌보는 것에만 머물지 않는다. 폭 넓게 보면 아이가 살고 있는 마을이 전체적으로 안전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거점인 셈이다. 따라서 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지원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김영애 아산시의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