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아그라 특허 끝나니, 누리그라·헤라그라·팔팔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화이자의 발기부전치료제 비아그라의 특허가 17일 만료됐다. 이에 따라 18일부터 국산 비아그라 복제약이 일제히 출시된다. 가뜩이나 약값 인하로 고충을 겪고 있는 토종 제약사들이 연간 1000억원에 이르는 국내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을 놓고 일대 격전을 치를 전망이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대웅제약·일양약품·비씨월드제약·국제약품·한국유니온제약 6개 제약사가 비아그라의 특허 만료 다음 날인 18일부터 복제약 판매에 들어간다. 지금까지 15개사 28개 제품이 품목허가를 받은 만큼 18일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비아그라 복제약이 시장에 선보일 전망이다.

 제품명은 여전히 선정적이다. ‘누리그라’ ‘불티스’ ‘비아신’ ‘팔팔’ ‘헤카테’처럼 정력을 연상시키는 단어가 대부분이다. 이번에 출시되는 비아그라 복제약은 기존의 정제형(알약) 외에도 세립형(분말)과 필름형(장) 등 다양하게 출시된다.

 가격은 한 정당 3000∼6000원대에 맞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화이자의 비아그라가 그동안 1만2000∼1만4000원에 팔렸고, 비아그라와 유사한 약효를 보인 SK케미칼의 필름형 발기부전치료제 ‘엠빅스S’의 최저가격이 5000원이라는 사실을 고려한 것이다. 비아그라 복제약 시판에 가장 적극적인 CJ제일제당 측은 복제약 ‘헤라그라’ 알약을 3000원대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특허권자인 화이자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화이자 관계자는 “물질특허는 끝났지만 발기부전 치료라는 용도특허의 만료시점은 2014년 5월”이라며 “그 이전에 시판되는 복제약에 대한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CJ를 비롯한 6개사도 특허심판원에 용도특허 무효소송과 용도특허 권리범위 확인소송을 진행 중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