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만에 말 바꾼 김문수 “지사직 사퇴 않고 경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김문수

김문수 경기지사가 23일 새누리당 대선 경선에 참여한 이후에도 후보로 결정될 때까지 지사직을 유지키로 했다. 후보 경선을 위해 지사직에서 사퇴할 수 있다는 당초 입장을 하루 만에 바꾼 것이다.

 그는 이날 경기도청 기자실을 찾아 “경선에서 승리해 대선 후보가 확정되면 그때 지사직을 사퇴한다”고 밝혔다. 경기도 공무원노조와 만난 자리에서도 “뽑아 준 분들과 상의해 보니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당선돼 공식 후보로 뽑힌다면 (지사직) 사퇴에 대해 크게 반론이 있겠느냐”고 했다.

 김 지사는 21일 도청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사퇴 결심을 굳혔으며 시점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고, 22일 국회 기자회견에선 “선관위 예비후보 등록은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하려 한다”고 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후보 등록을 하면 지사직을 내놔야 한다. 2007년 한나라당 대선 경선은 8월에 치러졌다.

 김 지사는 입장 선회와 관련, “국회의원과 달리 도지사는 사퇴를 안 하고는 예비후보 등록을 하지 못하게 돼 있다”며 “그래서 사퇴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는데, 그러고 나니 왜 도정 공백을 가져오느냐, 일부에선 보궐선거 비용 수백억원을 소송하겠다고 한다. 전 재산이 5억원이 안 돼 물어 줄 능력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야권에선 ‘갈지자 행보’ ‘몰염치한 행동’이란 비판이 쏟아졌다.

 김 지사는 또 이날 ‘경선 룰’ 개정을 두고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김 지사는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와 “완전국민경선 방식이 민심과 가장 일치된 경선”이라며 “(현재 방식으로 박 위원장) 혼자 추대되는 것은 아무래도 전근대적인 방식이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의 경선 방식은 대의원·당원이 50%, 당에서 모집한 국민이 30% 등의 방식인데 이렇게 해선 민심과 멀다”며 “당심이 민심과 굉장히 멀어지는 상태의 구조를 가지고는 민심으로만 투표하는 본선에서는 승산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박근혜계가 ‘경선 룰은 국민과의 약속’이라는 입장에 대해 “약속은 과거에 한 것이고 우리 대선은 앞으로 다가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야당 지지자들이 허약한 여당 후보에게 표를 던지는 ‘역선택’ 가능성에 대해서도 “선관위에서 관리하면 가장 깨끗하고 역선택도 불가능한 여러 가지 제도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