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te TNC 부두4 4500, 그 이름 하나로 [3]

중앙일보

입력

Test System

CPU : AMD Duron 650MHz
RAM : 현대 PC133 SDRAM 128MB
VGA : 3dfx Voodoo3 3000, Voodoo4 4500, nVIDIA Geforce2 MX
M/B : 유니텍 MS-6330
HDD : IBM DTLA-307030 (UDMA100 지원, 7200rpm, 30.7GB)
O/S : 영문 윈도우즈 98 SE

비교대상은 일단 비슷한 가격대인 지포스2 MX 보드와, 현재 저가형 그래픽 보드로써 아직까지도 사랑을 받고 있는 부두3 3000을 택하게 되었다. 비교적 최근까지도 부두3 3000 이 10만원대 초반의 가격을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두4 4500 은 그의 뒤를 잇는 후속타의 느낌이 강한 그래픽 보드이다. 그리고 부두4 의 출시와 함께 부두3 는 완벽하게 저가형 솔류션으로 위치이동을 한 셈이다. 과연 부두4 4500 은 부두3 의 뒤를 이어갈만한 성능을 보여줄것인가 ? 이제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2D 퍼포먼스

일단 2D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은 거의 평균적이라고 할수 있다. 부두3, 부두4, 지포스2 MX 가 거의 동일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만 2D 부분에서의 부두4 의 강점은 다름아닌 화질과 선명도다. 테스트를 하면서 지포스2 MX를 사용할 때와 부두4를 사용할 때의 화면을 체감적으로 비교해 보았는데, 역시 2D는 부두4 의 승리였다고 감히 언급할수 있었다. 실제로도 부두4 의 전버젼인 부두3의 2D 화면퀄리티 역시 ATI 나 G400 계열과 비교될 정도로 우수한 색감과 선명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부분은 이미 사용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부분이므로 독자들도 익히 알고 계시는 부분이리라. VSA-100 칩의 2D 퀄리티는 부두3 에 비해서 큰 발전은 없다. 다만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해상도에 따른 선명도가 조금더 향상되었다고 언급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란다.

D3D 퍼포먼스

T&L을 지원하는 D3D 벤치마크 프로그램인 3Dmark 2000 에서의 결과값이다. 지포스2 MX 칩은 T&L을 자체 지원하기 때문에, 상당히 높은 스코어를 얻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반면에 부두4 보드의 메인 칩인 VSA-100 칩은 하드웨어 T&L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부두4 는 전반적으로 지포스2 MX 보다 낮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부두3 와 비교해보면 대략 10% 정도 빠른 성능을 보인다. 기본적으로 VSA-100 칩이 부두3 보다 약간더 개량된 코어 디자인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메인 코어클럭이 166MHz 로 동일하고, 메모리 역시 두제품 공히 166MHz 로 동작하는 6ns SDRAM을 사용함을 기억해야 할것이다. 결국 메모리 대역폭이 동일하기 때문에 큰 성능향상은 이루어질수가 없다. 코어 칩 디자인을 약간 개량한다고 해서 큰 성능향상을 가지고 올수는 없다는 뜻이다. 어쨌든 지포스2 MX 는 위의 결과만으론 D3D 성능면에 부두4를 압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것만으로 모든 D3D 게임에서 부두4 가 큰 약세를 보인다고 할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단 아래의 자료값을 살펴보도록 하자.

화려한 광원효과로 유명한 Expendable 에서의 프레임 테스트 결과이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3Dmark 2000 의 결과값과는 상당히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 16비트 렌더링 성능에선 지포스2 MX 의 뒤를 크지않은 차이로 뒤쫓고 있으며, 32비트 렌더링 환경에 가서야 지포스2 MX 가 비교적 큰 차이로 부두4의 추격을 물리치고 있다는 점을 알수가 있다. 부두3 는 당연하겠지만 32비트 렌더링을 지원하지 못하기에 테스트를 진행할 수가 없었다. 이것으로 T&L 지원 게임에서는 지포스2 MX 가 큰 성능을 발휘할수 있겠지만, 일반적인 수준의 폴리건과 광원이 사용된 D3D 게임이라면, 의외로 부두4 가 지포스2 MX 와 견줄만한 만족할만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알수가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중요한 이슈가 있다. 바로 3DNow 최적화 솔류션에 관한 문제이다. 테스트 시스템은 AMD 듀런 CPU를 사용한 시스템이다. 해외 벤치마크 사이트의 자료를 살펴보면 인텔계열 시스템에서 Expendable 벤치마크를 실행해보면, 지포스2 MX 가 상당히 큰 격차로 부두4 를 따돌리고 있다는 자료를 쉽게 접할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 필자가 테스트한 시스템에선 16비트 렌더링에서 그러한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것은 결국 부두4 가 지포스2 MX 계열에 비해 3DNow 지원면에서 더 최적화된 드라이버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 Expendable 은 당연히 3DNow 가 지원이 되는 게임이다. 결국 사용자의 시스템이 AMD 3DNow 가 지원이 되는 시스템 환경이라면 부두4 는 특별한 메리트를 가지게 되는 셈이다.

OpenGL 퍼포먼스

퀘이크3 에서의 결과값을 보면 지포스2 MX 의 강력한 성능이 유감없이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상당히 큰 차이로 부두4를 따돌리고 있다. 퀘이크3 를 즐겨하는 게이머라면 현재 다른 선택은 있을수가 없다. OpenGL 분야는 지포스2 계열이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고있는 분야다. 하이퀄리티에서 부두3 가 이상하게도 빠른 성능을 보이는 이유는, 현재 3dfx 가 제공하고 있는 부두3 의 OpenGL 드라이버가 Twick 된 드라이버이기 때문이다. 그 자세한 이유는 아래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부두3 OpenGL 32비트 렌더링의 비밀

원점으로 돌아와서, 퀘이크3 에서의 퍼포먼스만을 보고 부두4 의 퍼포먼스가 낮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다른 OpenGL 게임에서의 성능을 살펴보면 이야기가 또 달라진다.

역시 OpenGL을 지원하는 게임 MDK2 에서의 프레임 테스트 결과이다. 16비트 렌더링 결과를 한번 살펴보자. 800*600 모드까지는 비교적 큰차이가 나타나고 있지만, 1024*768 모드로 가면 부두4 가 의외로 상당히 선전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지포스2 MX 는 800*600 해상도에서 1024*768 해상도로 넘어가면서 13프레임이라는 무시할수 없는 프레임 저하율을 보여주고 있지만, 부두4 는 의외로 5프레임 밖에 차이가 나고있지 않은 것이다. 이것은 전통적으로 부두 아키텍쳐가 광원처리와 텍스쳐 처리능력면에서 지포스2 계열보다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위의 자료를 살펴보면 그 이해가 한결 더 쉬워 질 것이다. 위의 자료들은 3Dmark 2000에서 광원효과 처리와 텍스쳐 렌더링 성능을 측정해주는 항목의 결과값들이다. 광원의 개수에 따른 렌더링 성능을 살펴보면, 지포스2 MX 는 4개의 광원소스에서 8개의 광원소스로 옮겨가면서 상당히 큰 차이로 성능이 저하되고 있음을 알수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부두4 는 거기에 비하여 비교적 작은 차이로 성능감소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수 있다. 결국 순수한 광원효과 처리속도면에선 지포스2 MX 가 우수할지도 모르지만, 다중 광원처리의 효율성면에선 VSA-100 칩의 아키텍쳐가 지포스2 의 아키텍쳐를 능가한다는 소리다.

두 번째 그래프를 살펴보면 3dfx 의 또다른 자존심이 보인다. 텍스쳐의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달라지는 렌더링 성능을 측정한 것이다. 32MB 나 64MB 텍스쳐가 사용된 장면일 경우 부두4 가 의외로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알수 있다. 마찬가지로 16MB 텍스쳐와 32MB 텍스쳐사이의 결과값을 비교해보면, 지포스2 MX 는 상당히 큰 차이로 성능이 저하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거의 부두4 성능저하폭의 2배만큼 퍼포먼스가 저하되고 있다. 64MB 로 넘어가면 거의 대등한 렌더링 성능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결국 이러한 아키텍쳐의 차이로 부두4 는 16비트 렌더링 성능에서 지포스2 MX 와 경쟁할수 있을만큼 우수한 성능을 가질수 있게 된다. 이것은 곧 게이머들이 말하는, 부두 계열은 전반적으로 프레임 유지능력이 뛰어나다는 말과 일맥상통하게 된다. 그래서 3dfx 부두는 3D 게임환경에 가장 적합한 그래픽보드라는 말이 나오게 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부두3 와 지포스2 MX 와의 성능차이는 게임에 따라 달라지게 되어 있다. 특정게임에선 퍼포먼스 차이가 많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특정 게임에선 그 갭이 상당히 근거리로 좁혀지는 경우도 있다. 물론 시스템 환경(CPU 종류, 클럭)에 따른 퍼포먼스 차이도 무시할수는 없다. 실제로도 현재까지도 부두3 는 꾸준히 사용자들에게 인기를 끌고있는 이유는, 가격대 성능비가 의외로 높기 때문이다. 결국 3D 가속보드의 선택은 자신이 어떤 게임을 즐겨하느냐에 달려 있다. 3D 게임 엔진의 특성은 3D 가속보드의 선택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는 것이다.

이창선
자료제공: PCBee (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