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한전파업 비상]

중앙일보

입력

한전 노조의 파업이 전기공급이 끊기는 '전력대란' 으로 이어질 것인가. 이에 대해 주무부처인 산업자원부는 "돌발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걱정할 필요가 없다" 고 자신한다.

산자부는 지금까지 노조원 전원이 파업에 동참한다는 최악의 가정 아래 비노조원.퇴직사원.협력업체 직원 등 9천6백명의 비상인력을 확보했고 이미 두차례의 가상훈련까지 마쳤다고 말한다.

특히 겨울철 비수기로 현재 전력예비율이 15~20%선을 유지하고 있어 만의 하나 2~3개 화력발전소가 멈추는 상황이 벌어져도 전국의 전력공급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비상대책반장인 산자부 이희범 자원정책실장은 "이미 사회관계장관회의를 통해 검찰.경찰을 보호시설에 즉각 투입하는 계획도 마련했기 때문에 노조원들이 난입해 발전기의 스위치를 내리는 최악의 상황도 막을 수 있다" 고 말했다.

한전 노조측도 파업과 관련, "전체 노조원의 참여는 독려하겠지만 비노조원의 출근을 저지하거나 시설물을 파괴하고 가동을 방해하는 방식의 투쟁은 하지 않겠다" 는 입장을 이미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문제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파업 가담자에 대한 대규모 구속사태.사법처리와 함께 회사차원의 징계조치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돌발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다.

또 비상인력을 하루 열두시간씩 휴일도 없이 맞교대할 수밖에 없어 파업이 한달 이상 장기화할 경우 여기 저기서 문제가 노출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정부측은 "발전시설의 대부분이 자동화로 가동되기 때문에 비상인력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파업 이후에도 노조와의 협상을 계속해 사태를 하루 빨리 해결할 방침" 이라고 말했다.

이효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