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 폐수업체 추적시스템 가동

중앙일보

입력

경남 창원시가 창원공단내 하천에서 오염사고가 발생했을때 폐수배출업체를 바로 찾아낼 수 있는 폐수검색시스템을 27일부터 가동한다.

전국자치단체중에서 이같은 시스템을 가동하기는 창원시가 처음이다.

이 시스템은 창원공단 기업체별 폐수의 성분 30여종과 오.폐수관로, 우수 (雨水)
관로 1백㎞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자체 도시정보시스템 (UIS)
에 미리 입력해 놓는다. 이 자료는 노트북에 담아 갖고 다닐 수 있다. 오.폐수 관로별로 1천여개 기업체 위치도 입력된다.

또 폐수를 떠서 바로 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이동장비도 갖춘다.

오염사고가 발생하면 현장에서 분석한 폐수성분을 입력하고 검색시스템을 이용해 같은 종류의 폐수를 배출하는 기업체를 찾아낸다. 만약 검색된 기업체가 여러개 나올 경우 현장 조사과정을 거쳐 적발하게 된다.

끝까지 배출업체를 찾아내지 못해도 중점관리대상 기업체로 선정해 관리하기 때문에 2차 오염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같은 시스템이 가동되면 비 오는날 폐수를 몰래 방류하는 얌체 기업체들을 바로 적발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폐수성분 분석 결과가 나오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데다 직원들의 경험에 의해 추적해 왔기 때문에 적발이 어려웠다.

특히 비오는 날에는 폐수가 빗물에 희석되거나 흘러 가는 바람에 더욱 어려웠다. 따라서 증거부족으로 행정처분을 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만성적인 오염사고의 원인이었다.

창원공단을 가로지르는 남천에서는 해마다 오염사고가 발생해 왔으며 마산만 오염의 주범이라는 지적을 받아 왔었다.

시는 이 시스템의 가동 효과가 클 경우 하천 주요 지점에 원격감시센서를 설치, 무인감시 체제까지 갖출 계획이다.

창원시 김정배 (金正培)
정보관리담당관은 "기업체들 사이에 폐수를 배출하면 단속을 피할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돼 오염사고가 영원히 사라지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창원 = 김상진 기자 <daed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