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盧대통령이 문재인에게 원했던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김병준

노무현 정부 때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58) 국민대 교수가 “상생과 평화 등 ‘노무현 가치’를 공유한, 제대로 된 ‘친노’는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유시민 통합진보당 공동대표, 이해찬 전 총리 등”이라고 말했다. 특히 문 이사장에 대해선 “노 전 대통령은 그가 영남에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정치에 나서줄 것을 원했었다”고 했다. 5일 밤 11시5분 방송될 JTBC ‘신예리&강찬호의 직격토크-나는 누구냐’의 녹화에 출연해서다.

 김 전 실장은 4·11 총선에 출마한 노무현계 인사와 관련, “친노 인사 중 일부는 선거 때가 되면 노무현 이야기를 많이 한다”며 “이는 노무현 팔아서 정치하는 것인데 아무 생각 없이 노무현만 들고나와 정치하는 게 노무현 정신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여당에) 복수하는 게 아니라 서로 의견이 달라도 관용의 정신을 갖는 게 노무현의 뜻”이라고 말했다.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에 대해선 “다른 길을 많이 걸어 독자적 아이덴티티를 갖고 있어 좁은 의미에선 ‘친노’가 아니다”라며 “정세균 전 민주당 대표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그는 “총선과 대선에서 민주통합당이 이길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민주당이) 성장에 대한 고민이 없고 ‘분노의 정치’로 표를 얻으려 하고 있어 집권해도 걱정이 더 심하다”고 했다.

 최근 불거진 불법 사찰과 관련해선 자신의 경험도 털어놨다. 그는 “참여정부가 끝난 뒤 (이명박 정부에) 주변 사람이 여럿 불려가고, 계좌추적 같은 것을 당하는 등 내사를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명박 정부가) 참여정부 핵심 인사들에게 의심이 많았을 것”이라며 “통상적으로 있을 수 있는 일이라 생각했고 내 경우는 무혐의로 종결됐다”고 말했다. 또 “참여정부에선 (반대파에) 인위적으로 압박을 가하는 식의 사찰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해선 “노 전 대통령이 2009년 목숨을 끊기 며칠 전 마지막으로 만났을 때 검찰이 온갖 피의 사실을 흘릴까봐 걱정하면서도 ‘(재판에서) 끝까지 잘해볼게. 열심히 할게요’라고 말했다”며 “극단적 선택을 할 것이라곤 생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