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e Back, ELSA GLADIAC Geforce2 Ultra ! [5]

중앙일보

입력

3Dmark 2000

D3D 벤치마크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3Dmark 2000 에서의 결과값이다. 우리는 여기서 글라디악 울트라가 어떤 퍼포먼스를 지향하는지 뚜렷하게 알수 있다. 기본적으로 16비트 저해상도 환경에서는 거의 비슷한 퍼포먼스를 자랑하지만, 1280*1024 해상도에서 뚜렷한 성능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즉, 지포스2 울트라는 저해상도의 성능향상 보다는 고해상도의 성능향상에 주력을 주고 개발한 제품이라는 뜻이다. 물론 이러한 부분은 32비트 렌더링에서도 마찬가지다. 지포스2 울트라는 고속으로 동작하는 코어클럭 및, 4ns 230MHz DDR SDRAM 의 채용으로 메모리 대역폭이 GTS 에 비해 조금더 상승되었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다. 또 위의 그래프를 세밀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Geforce2 GTS => 1024*768*32비트 => 4830 Score
GLADIAC Ultra => 1280*1024*32비트 => 4420 Score

일반적으로 지포스2 GTS 가 1024*768*32비트 환경에서 원활한 플레이를 할수 있는 게임이 있다면, 지포스2 울트라는 그 단계를 뛰어넘어, 1280*1024*32비트의 고해상도 화면에서 GTS 의 1024*768 해상도와 비슷한 레벨의 원활한 플레이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고해상도에 원활한 게임 플레이를 원하는, 하드코어 게이머들에게 매우 강력한 메리트를 가지는 부분이다. 역시 글라디악 울트라는 32비트 렌더링 분야에서도, 1280*1024 와 같은 고해상도 환경에서 뛰어난 퍼포먼스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는 부분이다.

Quake3

pcBee 테스터중 이모(?)군이 기가막히게 좋아하는 퀘이크3 에서의 테스트 결과값이다. 살펴보면 아시겠지만 전반적으로 3Dmark 2000 과 동일한 결과값을 보여주고 있다. Normal 모드에서는 저해상도의 경우 거의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1280*1024 해상도에서 퍼포먼스 차이가 확실하게 나타나고 있다. 역시 고해상도에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글라디악 울트라임을 알수가 있다. High Quality 렌더링에서는 GTS 가 해상도가 올라감에 따라 퍼포먼스 차이가 확실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울트라는 그것에 비해 다소 완만한 성능저하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하이퀄리티 1280*1024 에서 GTS 보드는 53 프레임을 기록해서 원활한 게임플레이가 어렵다는 부분을 보여주고 있지만, 울트라보다는 78 프레임을 기록함으로써, 나름대로 만족할만한 게임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역시나 울트라는 1280*1024 해상도에서 GTS 와는 차별되는 가속성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여담이지만, 이모군은 상당히 Q3 에 고수이다. 전설처럼 들려오는 이야기이지만, eBee 퀘3 서버에 어느날 Q3 프로게이머가 접속한 적이 있는데, 이모군은 상당히 격렬한 전투끝에 그 프로게이머를 이겼다고 한다. ^\^)

다만, 3Dmark 2000 과 퀘이크3 테스트 결과값을 보시면 상당히 이상한 부분이 발견된다는 점이 느껴지실 것이다. 그 부분에 대한 해답(?)은 다음페이지에서 언급하기로 하자.

이창선
자료제공: pcBee (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