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 “통신망보다 망에 담기는 가상상품에 주목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9면

KT의 올레경영 2기 전략 기자간담회가 19일 오전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열렸다. 이석채 KT 회장이 2015년 매출 40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미디어 유통그룹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이석채(67) KT 회장이 회사를 ‘글로벌 미디어 유통그룹’으로 변신시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 회장은 19일 서울 세종로 KT 올레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 먹거리인 가상상품의 글로벌 유통을 선도해 2015년까지 그룹 매출 40조원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가상상품(Virtual Goods)’은 콘텐트나 앱처럼 온라인이나 모바일 공간에서 거래되는 상품이다. 이 회장은 “융합의 시대에는 통신 그 자체보다 망 위에서 생산·소비·유통되는 가상상품에 주목해야 한다”며 “KT가 한류 콘텐트를 앞세워 해외 시장 공략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계열사별로 구체적인 협력방안도 내놨다. 자회사인 엔써즈가 갖고 있는 콘텐트 검색기술을 각 사가 공유하고, 유통회사인 유스트림이 한류 영상 콘텐트를 전 세계에 공급하며, 이 과정에서 용량이 큰 데이터는 클라우드 기술이 뛰어난 넥스알의 도움으로 압축하는 방식으로 협업할 계획이다. 또 지난해 한·중·일 3개국 통신사업자가 함께 만든 앱 장터 오아시스(OASIS)를 유통 창구로 활용할 계획이다. KT는 콘텐트 유통의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한다. 이 회장은 “얼마나 효율적인 업무 네트워크를 건설하느냐에 가상재화 시장의 승패가 달려 있다”며 “그룹 내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이날 “통신요금 인하 압박이 크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통신료가 비싸다고 느끼는 건 단말기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라는 견해를 내놨다. 그는 “제조사가 해외에서 400~500달러에 파는 단말기를 국내에서는 900달러에 출고한다. 국내 소비자들이 단말기 값을 공정하게 물고 있는지 심각하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전 세계 통신사 매출이 19.1% 성장했지만 국내 통신 3사는 가입자당 매출(ARPU)이 하락했다”며 “현재와 같은 통신 서비스를 3년 전에 누렸으면 통신요금을 100배는 더 내야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마트TV 접속 차단으로 촉발된 망 중립성 논란에 대해서는 “공짜 점심은 없다”는 말로 요약했다. 그는 “내 집에 들어오는 수도관 중간에 누군가 돈도 안 내고 파이프를 꽂아 돈 한 푼 안 내고 무한정으로 빼쓰고 있다면 그냥 둘 수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최근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임원 연봉을 10% 반납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투자비를 마련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올해는 LTE망 구축 등 예년보다 20% 이상 투자비가 더 들어갈 것”이라며 “이를 조달하려면 내부에서부터 허리띠를 졸라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태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