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능 엔터테이너, ATI RADEON 64MB DDR [6]

중앙일보

입력

Test System

CPU : AMD 애슬론 (썬더버드) 750MHz
RAM : 현대 PC133 SDRAM 128MB
M/B : 유니텍 MS-6330
HDD : 맥스터 다이아몬드 맥스 플러스 40 20G (ATA-66, 7200 RPM)
O/S : 영문 윈도우즈 98 SE
DRV : ATI RADEON Driver 4.12.3056
3dfx Voodoo5 1.03.00 WHQL
nVIDIA Detonator3 6.31 버전

3Dmark 2000

익히 예상해왔던 바이다. 전반적으로 지포스2 가 우세한 성능을 보이고 있으나, 지포스2 는 16비트 렌더링과 32비트 렌더링의 퍼포먼스 차이가 상당히 크게 나타남을 볼수가 있다. T&L 의 관점에서 보면 전반적인 속도상으로는 지포스2가 앞서고 있지만, 기술의 효율성 측면에서 보면 지포스2 보다는 RADEON 이, 보다 더 T&L 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알수가 있다. 이러한 우수한 코어를 바탕으로 차기모델에서 폴리건/필레이트 처리성능을 증대시킨다면, ATI 의 RADEON 시리즈는 엔비디아의 지포스 시리즈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을 거이다. 물론 현재로써도 지포스2에 가장 근접한 성능을 가진 3D 가속보드는 ATI RADEON 보드이다.

Quake3

역시 위의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속도면에서는 지포스2 가 더 빠르지만, 문제는, 지포스2의 경우 고해상도 32비트 렌더링에서, 확실한 프레임 저하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RADEON 은 이번경우에도 렌더링 퀄리티에 상관하지 않고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부두5 는 그다지 설명할 필요성을 못 느끼겠다. 보시는 바 그대로이다.

SPECviewperf

간단한 OpenGL 뷰포트 벤치프로그램, SPECviewperf 에서의 결과값이다. 특정 부분은 지포스2가 앞서고 있고 특정 부분은 RADEON 이 앞서고 있다. 결론을 내리기가 좀 애매한데, 전반적으로 드라이버의 개발방향이 달라서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짜피 두 보드를 전문적인 OpenGL 가속 보드로 사용하기엔 무리수가 있으므로, 대충 비슷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편하실 것이다. 부두5 는 역시 ICD 에는 약한 모습을 가지고 있어서, 두가지 테스트는 수행하지 못하고 나머지 항목들만 테스트를 완료할수 있었다. 물론 완료된 테스트마져도, 전반적으로 RADEON 이나 지포스2 에게 밀리고 있기는 하지만.

이창선
자료제공: pcBee (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