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사태로 경수로 건설차질우려

중앙일보

입력

현대건설, 대우건설, 현대중공업과 함께 경수로 건설 컨소시엄 구성하고 있는 동아건설의 퇴출위기로 현재 북한에서 짓고있는 금호지구 경수로발전소 공정에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동아건설은 당초 경수로 건설에 현대건설(35%)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지분(25%)을 확보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현대의 지분율이 50%로 높아진 반면 동아는 20%로 낮아졌다.대우와 한중의 지분율은 당초 각각 20%에서 15%로 낮아졌다.

이에 따라 경수로 기획단과 한전 KEDO(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원전사업처는 31일 회의를 갖고 동아건설 사태에 따른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경수로 기획단 관계자는 "동아건설이 경수로 건설공사에 참여해왔고 계약서상 건설참여 업체의 연대책임을 명시하고 있는 만큼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향후 동아건설 퇴출의 전개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 관계자는 "단순히 동아건설의 퇴출문제만 아니라 전반적인 국내건설업체의 어려움으로 경수로 건설에 차질이 생길지 관심을 가지고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미 1차부도를 낸 현대건설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경수로 건설에 큰 차질이 생기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참여 업체의 어려움과 함께 현재 경수로 건설공사는 안정적인 재원조달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사업추진이 본궤도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채권을 발행해 매년 필요액을 충당하는 등 단기 처방에 매달리고 있다.

정부는 작년에 1천500억원을 국채로 발행했고 올해도 2천547억원을 국채로 조달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전기료에 3%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경수로 공사비를 조달할 방침이었으나 국민부담 증가를 고려한 국회의 반대로 법안 통과가 무산됐다.

따라서 경수로 건설공사는 재원조달과 공사참여 업체의 잇단 퇴출위기로 시련을 겪고 있다. KEDO는 경수로 건설공사를 한전과 주계약을 체결했고 한전은 원전 건설 경험이 있는 국내업체 중심으로 토목공사 계약을 맺었다.

한편 경수로 건설은 작년 12월 공사 주계약이 완료됨에 따라 본격 공사에 들어가 올해 9월말 현재 부지정지 공사의 경우 80%를 완료한 상태다.(서울=연합뉴스) 장용훈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