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억 투자된 아리랑1호 위성 상용화 전무

중앙일보

입력

2천억원이 넘는 막대한 비용이 투자된 아리랑 1호 위성의 상용화 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과학기술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최초의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 1호는 총 2천242억원을 투입해 한반도 관측.과학실험.해양관측 등을 목적으로 작년 12월 미국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발사됐다.

그러나 한국항공우주주식회사를 민간대행사로 한 상업적 배포실적은 전무하며 항공우주연구소에서 고해상도카메라(EOC) 영상 2천개와 해양관측카메라(OSMI) 영상140개 정도를 63개 기관에 배포하고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에 대해 항우연측은 "국내외 상용화 실적은 없으나 현재 외국 정부 및 업체와 3건의 해외 영상 대리점계약을 맺는 등 국내외 자료판매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해명했으나 사전 판매계획이나 수요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측면이 없지 않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위성자료의 활용분야는 국토관리, 도시계획, 지도제작 등 광범위하지만 관련기관.연구기관.기업 등에서 아직 위성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인력,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기반이 갖춰지지 못하는 등 국내 시장이 형성되지 못한 실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