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 총사퇴 요구 … MB 심판론에 화력 집중한 한명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가 15일 유재만 변호사 입당식에 참석해 웃고 있다. [김형수 기자]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가 15일 취임 한 달을 맞아 영등포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했다. 이날 그의 회견문에는 ‘이명박’이란 단어가 8번, ‘MB(이 대통령의 약칭)’란 단어가 4번 나왔다. 시종 ‘총체적 실정·부패’ ‘무능’ ‘비리’ 같은 표현이 같이 담겼다. 4·11 총선을 ‘MB 심판론’으로 치르겠다는 생각을 드러낸 것이다. 한 대표는 “MB정권의 권력 실세 이상득, 최시중, 박희태의 추악한 비리가 드러났고 이들이 거두고 뿌려댄 자금에 대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면서 “새누리당 전 대표이며 국회의 수장이었던 박희태 사건은 권력을 통해 범죄 사실을 은닉하려 한 ‘청와대발 범죄 은닉’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MB정권의 불법 비자금 게이트는 아직 빙산의 일각으로 그 끝은 가늠할 수조차 없다. 이대로라면 국민은 정권의 마지막 1년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런 무책임하고 무능한 내각으로는 단 한 걸음도 전진할 수 없다”며 내각 총사퇴와 이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한 대표는 박근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에 대해서도 ‘동반 책임론’을 폈다. “난폭운전으로 인명 사고가 났다면 조수석에 있던 사람도 법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박 위원장이 조수석에서 침묵으로 이명박 정부를 도왔다”는 것이다. 한 대표는 “(박 위원장은) 모르는 척, 아닌 척 숨지 마라. 국민은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말도 했다.

 한 대표는 이번 총선을 “향후 대한민국 10년의 운명을 좌우하는 중대한 선거”라고 규정한 뒤 “민주통합당은 좋은 일자리 창출, 경제민주화 실현, 보편적 복지 확충, 권력 개혁과 시민 참여 확대, 한반도 평화 정착 등 5대 정책 비전으로 총선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그는 회견문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란 단어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집권하면 한·미 FTA를 폐기하겠다”는 공개서한을 보낸 것에 대한 역풍이 작지 않다는 판단 때문인 듯하다. 그러나 한 대표는 기자들과의 문답에서 한·미 FTA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이 나오자 “한·미 FTA는 참여정부에서 시작했으나 5년이 지난 지금 내용과 상황이 바뀌었다. 국제 금융질서가 바뀌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고 있다. 총선에서 승리하면 잘못된 한·미 FTA에 대해 전면 재검토 내지 재재(再再)협상을 하고, 재재협상이 무산된다면 폐기할 수밖에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당 대표 취임 한 달 기자회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