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태·김효재, 버티다 고명진 한마디에 '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고명진

박희태 국회의장과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의 거듭된 부인과 거짓말. 일반적으론 돈봉투 사건의 책임을 피하기 위한 은폐 시도로 비친다. 하지만 단순한 은폐공작만으론 ‘쉽게 드러날 사안을 노련한 정치인들이 왜 발뺌하려 했을까’라는 의문에 답하기 어렵다.

 근본적으론 돈봉투 주고받는 걸 범죄행위로 의식하지 못했다는 데서 원인을 찾아야 한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두 정치인 모두 돈으로 움직이는 구시대 정치의 타성에서 벗어나지 못해 죄의식 대신 ‘관행이다’는 인식을 지녔다는 것이다. 김 수석이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고 한 것도, “내가 무슨 죄인이냐”고 항변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또 박 의장이 기자들의 질문에 발끈해하거나, 억울하고 답답하다는 반응을 보인 것도 마찬가지다. 그러다 박 의장의 비서 출신인 고명진씨의 진술 한마디에 두 정치인의 방어선은 한순간에 무너졌다. 물러날 시점도, 책임질 시점도 찾지 못한 채 계속 벼랑을 향하다 추락한 것이다.

 실제 박 의장은 사퇴 의사를 밝히기 하루 전날인 8일 밤 의장 공관에서 고씨를 만난 것으로 10일 확인됐다. 고씨는 새누리당 고승덕 의원 측으로부터 전당대회 당시 돈봉투를 돌려받았다는 의혹을 샀던 인물이다. 국회와 새누리당 관계자 등에 따르면 고씨는 박 의장을 만난 자리에서 “고승덕 의원에게 전달했던 300만원을 내가 돌려받은 사실과, 그런 사정을 김효재 수석(당시 박희태 대표 비서실장)에게 알렸다는 사실을 모두 검찰에서 진술했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박 의장은 이 얘기를 들은 뒤 사퇴를 결심하고 기자회견을 13일에 하도록 지시했다는 게 국회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나 고씨의 검찰 진술 내용이 바로 다음 날 중앙일보(2월 9일자 1면) 등에 보도되면서 사퇴 발표가 앞당겨지게 됐다고 한다. 게다가 박 의장은 최근 측근들과 대책을 논의하면서 고씨와도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박 의장 측이 고씨에게 검찰에서 허위진술을 하도록 했거나, 말을 맞췄을 가능성 등이 검찰 수사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고씨의 진술은 한 달여 동안 고승덕 의원과 진실게임을 벌여온 김 수석의 운명도 결정했다. 돈봉투 심부름을 한 고씨가 검찰에 ‘윗선’을 털어놓으면서, 자신에 대한 검찰 소환이 불가피해지자 김 수석도 결국 손을 들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돈봉투 사건과 관련해 자신의 이름이 거명된 지난달 6일 기자들과 만나 “전혀 사실무근이다” “고승덕 의원과는 18대 국회에서 말 한마디를 섞거나 눈길 한번 준 적 없다”고 강하게 부인했었다. 그러자 고 의원은 이틀 뒤 검찰에 소환됐을 때 “전당대회 이튿날인 2008년 7월 4일 보좌관을 통해 당 대표실로 300만원을 돌려주자 오후에 박 의장 측으로부터 ‘왜 돌려준 것이냐’는 확인 전화를 받았다”며 전화를 건 당사자로 김 수석을 지목했다. 이 주장이 나온 뒤에도 김 수석은 “ 그 사람과는 절대 대면(對面)으로건, 전화로건 이야기해본 적이 없다”고 거듭 부인했다. 9일 자정쯤 서울 하월곡동 자택 입구에서 중앙일보 기자와 만났을 때도 그는 “내가 무슨 죄인이냐”는 반응을 보였다.

 박 의장도 그랬다. 돈봉투 사건이 보도된 날 출근길에서 “나는 전혀 모르는 일이고 상관이 없다”고 말했다. 사흘 뒤인 1월 9일 아시아·태평양 의회 포럼 총회 참석차 찾은 일본 도쿄에서도 “전혀 모르는 일이다. 혹시 보좌관 등 누가 했나 싶어서 알아봤는데 아무도 돈을 준 사람도 없고, 돌려받은 사람도 없다고 한다. 무슨 말을 더 하나”고 더 강력히 부인했다. 이어 지난달 19일 해외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면서는 “발생한 지 4년이 지난 일이라 기억이 희미하다”고 물러섰다.

 조선일보 기자 출신인 김 수석은 2006년 이명박 대통령 대선 캠프의 모태인 안국포럼에 참여한 뒤부터 이 대통령 직계로 분류돼 왔다.

박희태·김효재, 숨기며 버티다 … 고명진 한마디에 무너져 #돈봉투 폭로 35일 만에 백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