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 40만 애보리진의 설움 날린 프리먼

중앙일보

입력

개막식 성화 점화자로 나서 호주의 아픈 역사를 전세계에 알리는 계기를 만들었던 캐시 프리먼(27.호주)이 마침내 올림픽 금메달로 호주 원주민 40만 애보리진의 설움을 날렸다.

25일 저녁 주경기장에 모인 호주 국민들은 여자 육상 400m 결선에서 프리먼이 50m를 남기고 막판 스퍼트에 들어가 역전 우승을 일궈내자 '오지, 오지, 오지'를 외치며 열광했다.

프리먼은 관중석에서 건네준 호주 국기와 애보리진 깃발을 함께 움켜쥐고 환호하는 관중들을 향해 손을 흔들며 환한 미소를 지어 보였다.

그러나 프리먼은 94년 영연방대회 때 우승한 뒤 호주 국기 대신 애보리진 깃발을 들고 달려 백인계 호주인들의 엄청난 반발을 샀던 아픔이 눈에 밟히는 듯 국기와 깃발을 끝내 펼쳐들지 않는 조심스러운 모습이었다.

프리먼의 금메달은 '인종청소'를 방불케 했던 학살과 탄압에 힘없이 스러져 가던 애보리진들에게 희망을 안겨줬다.

또 프리먼을 성화 점화자로 내세워 애보리진들에게 화해와 용서를 바라는 제스처를 줄곧 보여온 백인 호주국민들에게도 뜻깊은 선물이었다.

프리먼 개인에게도 애틀랜타올림픽에서 마리 조세 페렉(프랑스)에 뒤져 은메달에 그치면서 42연승에 마침표를 찍은 뒤 절치부심한 결과여서 감격은 한결 더했다.

세계에 애보리진의 실상을 각인시킨 프리먼은 97년 아테네 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99년 세비아대회에서 여자 400m를 2연패한 호주 육상의 간판스타이자 애보리진을 대표하는 인권 운동가.

퀸즐랜드 메케이에서 애보리진의 후예로 태어나 차별과 질시를 딛고 호주 육상의 희망일 뿐만 아니라 애보리진의 영웅으로 성장한 프리먼은 이번 금메달로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주목받게 됐다.

또 프리먼은 매리언 존슨이 5관왕을 노리고 출전하는 200m에도 나서겠다고 밝혀 호주 육상에 신기원을 이룰 가능성도 열어놓았다.

다만 프리먼은 '세기의 대결'로 예상되던 페렉과의 결전이 '프리먼의 우승을 바라는 호주인들의 극성'으로 무산됐다는 프랑스측의 주장으로 자신의 업적에 흠을 남길까 우려했다. (시드니=연합뉴스) 특별취재단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