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농어업인 자녀 우대 … 지역 인재 기 살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0면

한국농어촌공사 직원이 농업용수 관리를 위해 수질을 체크하고 있다. 채취한 시료는 농어촌연구원으로 보내 정밀검사를 한다.

한국농어촌공사가 정부의 친서민 일자리 창출 정책과 공정사회 구현에 부합하는 다양한 채용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해 인턴 채용을 활성화하고 학력보다 능력 중심의 열린 채용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고졸자 채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는 가운데, 농어촌공사는 올해 214명을 청년인턴으로 채용하고 이 가운데 20%를 고졸 출신으로 채용할 방침이다. 또 2010년 한국 폴리텍대학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수자원 관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고졸자의 대학위탁교육을 신설하기도 했다. 1년 동안의 수자원 관리 전문과정을 수료하면 인턴을 거쳐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방식이다. 공사는 대학과 연계한 산학협력을 통해 고졸자 채용을 확대하는 동시에 농어촌용수 관리의 전문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다음달 1기 수료생이 배출되면 이들을 인턴으로 채용할 예정이다. 지난해에도 공사는 신입사원의 50%를 농어업인 자녀 특별전형으로 채용했다.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 및 농어업인 자녀를 전형 과정에서 우대하고, 지방대 졸업자 등 지역인재 채용을 늘리기 위해 지역인재 채용할당제를 도입하기도 했다.

공사는 또 비영농기 농어업인의 소득 향상과 영농기에 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수리시설 정비를 통한 일자리 창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14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국 94개 지사에서 용·배수로 수초 제거 등을 실시해 올해 연말까지 약 9만여 개의 농한기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공사는 전망했다. 공사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총 10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농한기에 8만7000개의 일자리를 제공했다”며 “농어촌 지역의 대규모 일자리 창출로 농어업인의 소득 향상은 물론 노후화된 시설관리와 영농기 원활한 용수 공급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순 농어촌공사 사장은 “친서민 일자리 창출과 실업 해소를 위한 노력은 공기업으로서의 사명”이라며 “앞으로도 공정한 경쟁을 통한 능력 중심의 채용과 농어촌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농어촌공사는 1908년 설립된 수리조합을 모태로 하는 농지개량조합과 농지개량조합연합회, 농어촌진흥공사 등 3개 기관이 통합해 2000년 농업기반공사로 출범했다. 2005년 한국농촌공사로, 2008년 지금의 한국농어촌공사로 사명이 변경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