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변인 된 신경민 전 MBC 앵커 … 전주고 동기 정동영 지역구 물려받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동영(左), 신경민(右)

신경민(59) 전 MBC 앵커가 민주통합당의 새 대변인으로 19일 임명됐다. 한명숙 대표는 18일 밤 신 전 앵커를 만나 대변인직을 제안했다. 신씨가 “최고령 초임 대변인 아닌가”라고 반문하자 한 대표는 “나도 내일모레 70세인 ‘할머니’인데 열심히 돌아다니고 있다. 고령이라 생각 말고 젊게 살자”고 설득했다고 한다. 한 대표에게 신씨를 추천한 사람은 박영선 최고위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최고위원은 신 대변인의 MBC 기자 2년 후배다.

 신 대변인은 2008년 3월부터 MBC 뉴스데스크를 진행하다 1년1개월 만에 물러났다. 당시 그가 이명박 정부에 비판적인 코멘트를 많이 한 것이 하차의 원인이라는 외압 논란이 일었다. 신 대변인은 취임 일성에서 이 문제를 끄집어냈다. “여기까지 오게 된 건 ‘MB(이명박 대통령)’ 덕분”이라고 말한 뒤 “MB 지근거리에 있는 분들의 철저하고 주도적인 계획으로 물러났다”고 주장했다. 신 대변인은 “정치가 유턴하는 것을 보며 유턴이 일어나지 않도록 시스템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정치입문 이유를 밝혔다.

 신 대변인은 뉴스데스크 진행 당시 직설적인 ‘클로징 코멘트’로 유명했다. 내용 면에선 주로 진보 진영의 입장을 중시한 코멘트가 많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앵커에서 물러난 뒤 보도국 선임기자와 논설위원을 거쳐 지난해 9월 정년퇴직했다. 앞서 야권은 높은 지명도를 가진 신 대변인을 여러 차례 영입하려 했다. 2010년 7·28 서울 은평을 보궐선거와 지난해 4·27 분당을 보궐선거 때 유력 후보로 거론됐지만 본인이 불출마를 선택했다.

 신 대변인은 MBC 기자 출신인 정동영 상임고문과 각별한 사이다. 신 대변인 스스로 “정동영씨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인생역정이 겹친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모두 1953년생으로 전주고 동기동창(48회)이다. 서울대를 졸업한 것도 같다. 서울대는 신 앵커가 1년 먼저 들어갔지만 MBC에는 정 앵커가 3년 먼저 입사했다. 신 대변인은 원혜영 의원, 유인태 전 의원 등과도 가까운 사이다. 18일 저녁도 이들과 함께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 대변인이 총선을 80일 앞둔 시점에서 민주통합당의 주요 당직을 맡자 그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모아졌다. 당내에선 신 대변인이 정동영 고문의 서울 출마로 자리가 비게 된 전북 전주 덕진에서 출마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신 대변인은 19대 총선 출마 여부에 대해 “지금은 그냥 대변인 역할에 집중하려고 한다”며 명확한 답변을 피했다.

신 대변인은 1981년 MBC에 입사한 뒤 워싱턴 특파원과 국제부장, 논설위원을 지냈다. 지난해 9월 정년퇴직한 이후부터 이화여대에서 언론정보학과 겸임교수를 맡아왔다. 그는 이달 27일부터 2008년 이후 해직된 기자·PD가 참여하는 인터넷 탐사취재 보도 프로그램인 ‘뉴스타파’의 앵커를 맡을 계획이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