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법정관리 가능성 없다"

중앙일보

입력

이헌재 재정경제부장관은 25일 현대 자체의 자금사정 악화징후는 보이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나아지는 상황이라고 설명하고 시장 참가자들이 무책임한 행동(자금회수 등)
을 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또 현대건설에 대한 법정관리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조치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채권전용펀드 기금을 기존의 10조원외에 하반기에 10조원을 단계적으로 추가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은행 소유한도 관련해 국내인이 동등한 대우를 받도록 오는 가을 정기국회에서 은행법을 개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하반기에 걱정이 하나 있다면 현대문제”라면서 “그러나 현대자체의 자금사정이 악화되는 징후는 없으며 오히려 나아지는 기미가 있고 현대도 나름대로 해결책을 강구하느라 애쓰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장 참여자들이 무책임한 행동으로 ‘쪽박을 깨는’ 사태가 있어서는 안된다”면서 “은행장, 제2금융권 사장 등이 이럴 때 리더십을 갖고 자기책임을 지고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현대건설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후속적인 금융이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면서 “금융기관들도 워크아웃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와함께 “신용평가사들이 현대 계열사의 신용등급을 내린 것은 이미 시장에 반영된 내용을 감안한 조치이지 미래를 향한게 아닌 만큼 투자자들은 예민한 반응을보일 필요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 장관은 또 “기존 채권전용펀드의 10조원외에 하반기에 단계적으로 10조원을추가 조성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면서 “신용보증기금의 보증한도 역시 필요하다면확대하는 한편 서울보증에 자금을 넣어 공신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현행 은행법은 외국 투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외국인에 대해서는 보유한도의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가을 정기국회때는 국내외 똑같은 규정으로 발전시킬 생각”이라고 말했다.

현대 계열분리와 관련, “당초 현대는 3년 이내에 계열분리하겠다고 약속했으나올해로 앞당기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는데, 이 자체가 진전된 것”이라면서 “실질적인거래관계는 다 끝났고 정몽헌.정몽구회장이 해결할 수 있는 사안도 아닌 만큼 시장이 좀더 기다려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
윤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