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휴대폰 작년 950만대

중앙일보

입력

무선혁명의 뒤편에도 어두운 그림자는 있다. 광명천이 흐르는 서울 독산역 부근의 ''진명C&C'' . 3백여평의 공터에 30만대가 넘는 휴대폰 단말기가 산을 이루고 있다. 연초에 선보인 A사의 폴더형까지 눈에 띈다.

한국은 ''단말기 천국'' 이다. 지난해 버려진 중고 휴대폰이 9백50만대였고 올해는 8백만대(최대 1천2백만대) 로 추산된다. 신모델 출시경쟁.공짜 단말기다 가입자의 과소비가 휴대폰 폐기를 부채질하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로열티 지급과 부품 수입으로 매년 2조2천억원이 외국으로 새나가고 있다.

PCS업체의 단말기 보조금(1998~2000년 3월) 만 6조5천억원에 달해 PCS3사는 2조9천억원의 누적적자를 안고 있다. 정보통신부의 단말기 보조금 폐지도 이런 악순환을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엄청나게 늘어나는 중고 단말기의 재활용은 멀고도 험하다. 소비자는 물론 단말기 업체조차 외면하고 있다.

신세기통신의 박동수 기획팀장은 "중고 단말기를 쓰는 경우는 단말기를 잃어버렸을 때 잠시 이용하거나 외국인들이 국내에서 휴대폰을 임대할 때를 빼고는 없다" 고 말했다.

중고 단말기 업체들이 수출로 길을 뚫고 있지만 단말기 제조업체들의 방해로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진명C&C의 조병갑(46) 사장은 "삼성.LG.현대 등이 부품 공급을 잘 안 해주고 있다" 며 "생산이 수요를 못따라 제대로 수출도 못하면서 뒷다리만 잡는다" 고 털어놓았다.

그러나 중남미.베트남 등 해외에서는 성능 좋고 가격도 저렴한 국산 중고 단말기를 찾는 발길이 늘고 있다.

보조금이 폐지되는 다음달부터는 중고 단말기의 쓰임새도 다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