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이 경기도로 몰려온다

중앙일보

입력

벤처기업들이 분당과 수원, 안양, 안산 등 경기도내 곳곳에 속속 입주하면서 이들 지역이 `최고의 벤처 입지''로 떠오르자 경기도가 벤처집적시설 확충을 서두르고 있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4월말 현재 도내 벤처기업은 1천397개로 전국의 21.3%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98년말의 451개와 비교해 3.1배나 되는 수치다.

서울 강남의 테헤란로와 양재.포이동 지역의 벤처기업들은 이미 입주공간의 포화로 인한 임대료 상승과 교통혼잡, 연구환경 악화 등의 불편을 겪고 있어 다른 지역으로의 이전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남역 인근 벤처기업 `모음정보''의 김기수 이사는 "기업이 정착단계에 접어들면 굳이 서울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며 "성장기 기업들의 이전이 많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3월 경기도와의 간담회에서 테헤란.포이밸리의 벤처기업 관계자들은 "수도권에 첨단화된 벤처집적시설과 저렴한 입주공간만 제공되면 위치에 관계없이 이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도는 2002년까지 도내 48개 창업보육센터를 졸업하는 업체가 2002년까지 모두 4백30여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돼 이들 업체의 입주공간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단계적으로 벤처빌딩을 늘려나가기로 했다.

이와 관련, 옛 북부출창소 건물 등 유휴 공공건물과 민간 유휴빌딩을 벤처기업 입주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도 건설본부와 옛 가축위생시험소 부지 등 도유지를 활용한 벤처기업 집적시설건립 등도 모색되고 있다.

도는 민간빌딩의 벤처공간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연면적 1천500㎡가 넘는 3층 이상 건물 소유주가 벤처집적시설로 전환하면 취득ㆍ등록ㆍ재산세 등 지방세를 감면하고 교통유발부담금이나 과밀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의 면제와 심야전력요금 할인 등의 혜택을 주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