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유전정보 인력 키워야

중앙일보

입력

새 천년이 시작되면서 세계 과학계는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인간 DAN 설계도의 완성을 향한 각축전이 연일 보도되면서 생명과학의 관심이 과학계에 머물지 않고 산업사회의 목표로 부각되고, 더 나아가 국제정치의 논점으로 발전하고 있다.

유전체 연구결과에 대한 활용범위와 지적재산권 문제가 그것이다.

유네스코는 ''인간유전체와 인권선언'' 을 했고,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토니 블레어 영국 수상은 인간 유전체 정보의 공개원칙을 표명했다.

이는 질병으로부터의 해방과 인구폭증.석유자원 고갈에 대한 인류의 대비책이지만 과학적 관점에서 보면 생명신비에 대한 탐구 열의가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생명과학.화학.물리학.기계공학과 전산학 등이 동원돼 유전정보의 해석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유전체 정보의 산출과 그 기능분석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은 유전체 연구의 중추신경망을 제공함으로써 유전정보의 접근과 해석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편입하기 위해 기술선진국에서는 국운을 걸고 달려들고 있다. 예로 미국정부가 인간유전체 연구사업에 3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투자를 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생명현상의 신비탐구에서 출발한 생명공학이 이제 미래 산업사회의 희망이자 생존전략이 된 셈이다. 또한 미래 지구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기도 하다.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유전체 연구와 같은 대규모 국책연구사업은 그 주제의 선택에서부터 신중해야 한다.

그 주제가 21세기 산업사회의 방향이자 국정목표이기 때문이다. 일본이 인간유전체 연구에 못지않게 ''식량과 에너지'' 주제를 선정하고 실효성이 있는 관련 유전체연구를 강도높게 추진하는 점은 참조할 필요가 있다. 투자규모가 한정적인 우리의 경우 그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적인 유전체연구사업이 본궤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과 연구하부구조가 어떤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사실 인간 유전체정보가 무상으로 공개된다 해도 우리에겐 담아놓을 그릇이 없고 유전정보를 가공할 전문인력이나 프로그램의 개발능력이 전무하다.

생명정보를 가공해 활용할 수 없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그것이 지금 우리의 현실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