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만에 만난 남북 외교장관 “비핵화 회담 우리가 주도를”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남북 대화’하는 두 장관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왼쪽)이 23일 오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박의춘 북한 외무상을 비공식적으로 만나 밝은 표정으로 대화하고 있다. 남북의 외교 담당 책임자가 만난 것은 2008년 7월 싱가포르 회동 이후 3년 만이다. [연합뉴스]

남북 6자회담 수석대표 간의 비핵화 회담이 열린 지 하루 만에 대화 흐름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조만간 북·미 양자회담이 열릴 가능성도 커졌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23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 열리고 있는 인도네시아 발리 국제회의장(BICC)에서 박의춘 북한 외상과 비공식 접촉을 하고 추가 남북 비핵화 회담 등을 포함한 현안을 협의했다. 남북 외교장관이 접촉한 것은 2008년 7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ARF 외교장관회의 이후 3년 만이다. 일정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난 김 장관은 “전날 있었던 외교장관 만찬 때부터 박 외상과 만나왔다”며 “남북이 비핵화 회담을 주도적으로 해 보자고 얘기했고,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박 외상과 어떤 대화를 나눴나.
“전날 회담이 유익하고 건설적이었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남북 외교부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하자고 제안했고, 박 외상도 상당한 공감을 표했다.”

-남북 비핵화 회담의 의미는.
“최근 남북관계가 어려운 상황에서 비핵화 대화 과정을 복원하는 출발점이다.”

-북·미 대화도 바로 시작되나.
“물꼬를 텄으니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다자·양자 회담이 시작될 것이다.”
북·미 접촉의 구체적인 그림도 나왔다. 이번 회의에 참석 중인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미국 방문 문제를 한국·일본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혀 북·미 대화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 정부 핵심 당국자는 “미국 측과 협의를 했다”며 “미국 측이 전날 회담 결과에 대한 상세한 브리핑을 받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최종 결정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북 및 북·미 대화 외에 다양한 다자 회담 가능성도 크다. 이와 관련, 정부 핵심 관계자는 “6자회담이 열린다면 논쟁만 벌이다 끝나버린 과거와 달리 곧바로 진전을 보여야 한다”며 “이를 북한 측에 설득하기 위해 6자회담국 틀 내에서 다양한 양자·다자 회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러시아는 ARF 회의, 동아시아정상회담(EAS) 외교장관 회의 등에서 “6자회담과는 별도로 동아시아 안보를 논의할 워킹 그룹을 가동하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러시아는 핵실험과 탄도미사일 발사 임시 중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원 복귀 등의 조건을 북한에 제시한 바 있다.

정부는 이 밖에 다양한 양자·다자 대화를 이어갔다. 김 장관은 점심 전 힐러리 클린턴((Hillary Clinton) 미 국무장관과 만나 남북 비핵화 회담에 관한 견해를 주고받으며 남북 및 북·미 대화 병행 여부를 중점 논의했다. 점심 때는 오찬을 겸해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열고 공동 발표문을 발표했다. 북한의 비핵화 관련해선 “2005년 6자회담 공동성명상의 공약을 재차 강조했다”는 언급이 가장 먼저 나왔다.

발리(인도네시아)=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