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이버테러 … 북한 소행이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북한 또는 북한의 동조자들이 지난 3월 한국 정부와 금융기관 웹사이트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드러났다고 AP통신이 5일 미국 컴퓨터보안업체 맥아피의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AP에 따르면 맥아피는 20개 이상의 한국 웹사이트를 목표로 한 올해 초 사이버 공격은 한국 정부가 이런 공격을 얼마나 일찍 발견하고 복구하는지를 알아보려는 정찰 목적의 일환이란 결론을 내렸다.

 보고서는 사이버공격에 동원됐던 코드들을 살펴보면 이 공격이 아마도 북한이나 그 동조자들에 의해 이뤄졌을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맥아피는 또 2009년 7월 한국과 미국 정부 기관 웹사이트가 마비됐던 사건도 북한이 연관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

 앞서 3월 4일 청와대와 국가정보원 등 국가기관과 금융기관, 주요 기업 웹사이트 등은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 공격을 당해 사이트가 마비되는 등의 피해를 보았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4월 이 공격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공격 방식 등이 2009년 7월 7일 발생한 디도스 공격과 정확하게 일치한다”고 밝혔다.

‘7·7 디도스 공격’은 2009년 7월 7~9일 한국과 미국 주요기관 35개 사이트를 해킹한 사건이다. 당시 한국과 미국 정부는 공격 근원지가 북한 당국의 소행이라고 결론 냈다.

이승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