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사이버테러 반응과 대책-태국 ⑨

중앙일보

입력

태국 정부는 컴퓨터 해커에 대해 아직 실질적인 대책을 수립한 것이 없으며 이용자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선에서 그치고 있다.

그러나 언론들과 이해 당사자들은 비상한 관심을 갖고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파이랏 탓차이퐁 과학기술부 국장은 안전 네트워크위원회의 설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각종 세미나 등을 통해 컴퓨터 전문가들의 교육과 해커관련 법규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태국 중앙은행인 태국은행(BOT)과 상업부는 금융기관이 입출금 관련 사업에 관여할 경우 반드시 중앙은행에 허가를 받도록 했다며 허가심의 기간은 60일 이내로 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금융거래는 반드시 이용자에게 증거서류를 전해주고 금융기관은 추후 조사시 증거로 복사본을 보관하라고 지시했다.

타릿사 왓타나켓 BOT 정책담당 부총재는 인터넷을 통한 금융업무를 광고하고 있기는 하나 아직까지 허가를 신청해온 기관은 없다고 밝히고 100% 해커방지책은 없다며 이미 이용한 금액의 명세를 통해 확인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마이크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사의 반츳 데렁 사장은 해킹의 대부분이 컴퓨터 윈도 환경하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을 유의해 볼 필요가 있다며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안전대책을 촉구했다.

그는 이스라엘을 예로 들면서 이스라엘에서는 해커들이 침입하지 못할만큼 완벽한 대책을 취해놓고 있다며 해커방지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피팟 엿프륵티칸 타이콤 사장은 최근 안전장치 소프트웨어가 금융기관등에서 폭발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고 말하고 그러나 이들 안전 소프트웨어 장치는 100만-1천만바트(3천만-3억원)를 호가하고 있다고 문제점을 적시했다.

태국 전기표준개발협회 회장 위라차이 싱니욤은 태국내 해커사고가 급증추세 이므로 소프트웨어에 안전장치 부착이 시급하다며 해커를 막는 연구기관 등 단체의 결성을 촉구했다.

한편 미국의 야후 등 인터넷 해킹 사고 이후 태국의 현지어 신문들은 이 사고에 관심을 갖고 국내에서의 유사사건을 보도해왔다.

2-3일 전 Lox Info란 회사에 인터넷을 통해 해커가 침입해 크레디트 카드 사용자 2천명의 명단을 노출시킨 사고를 비롯, 지난해 탐마삿대학교 재학생이 미국 국방부에 해킹을 하다 연방수사국(FBI)에 의해 적발돼 제적당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고 신문들은 전했다.

유력 경제지인 크룽텝 투라킷은 태국 국민은 검증 없이 컴퓨터 장비들을 수입하고 있으며 인도의 소프트웨어 전문가들 밑에서 대부분 고용돼 일하고 있고 안전장치의 개발에는 관심이 없는 점을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