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아이들 미래 바꾸는 교육 기부 확산시키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미래 세대를 위한 교육은 학교·교사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학부모는 물론이고 지역공동체와 사회가 관심을 갖고 함께 참여할 때 학교 교육은 더욱 풍성해질 수 있다. 학교가 지역·사회와 동떨어진 ‘고립된 섬’일 수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는 얘기다. 최근 대기업·공공기관·대학 등이 보유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 초·중·고교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교육 기부’가 느는 현상이 반갑고 다행스러운 이유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올 들어 본격화한 교육 기부 활동이 대표적이다. 현재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LG전자·SKT·KT 등 11개 대기업과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63개 전문대 등과 함께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현대차 임직원들이 엊그제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의 팔탄초등학교 대방분교에 일일교사로 나서 ‘자동차 체험 교육’을 진행한 것도 그 일환이다. 학생들에게 자동차의 종류, 제작 과정, 교통안전 교육 등을 강의하고 직접 아이들과 함께 장난감 자동차를 조립했다고 한다. 이달 말까지 낙후 지역 50개 학교에서 같은 프로그램이 진행된다고 하니 기대가 크다.

 개인들도 지식·재능·경험을 나누는 활동으로 학교 교육에 보탬이 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해 12월 중학생을 대상으로 벌인 ‘재능 기부 활동’이 좋은 예다. 김빛내리 서울대 교수, 박범신 소설가, 이금희 아나운서, 김덕수 국악인 등 다양한 분야의 유명 인사 200여 명이 학교를 찾아가 수업을 하거나 작업실을 공개해 직접 지도했다.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자극하고 창의·인성교육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교육 모델이라고 본다.

 교육 기부를 실천하는 ‘학교 밖 선생님’들의 학교 교육 참여가 확산될수록 학생들이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쌓을 수 있게 된다. 아이들의 미래를 바꾸는 생생한 교육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 기부 활성화는 기관·개인의 의지에만 맡겨서 될 일이 아니다. 교육당국은 교육 기부 희망자와 학교·학생을 원활하게 맺어주는 연결망부터 제대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질 관리를 위한 교육 기부 기관·프로그램에 대한 인증시스템도 갖춰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