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에 NT ∙ IT 융 ∙ 복합…신개념 집적형 생물공정 기술연구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KAIST 분자생물공정융합기술연구단

KAIST 분자생물공정융합기술연구단(김정회 단장∙사진)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미래 생명공학산업의 성장 동력 역할을 할 수 있는 생물화학제품, 바이오의약품, 그리고 질병 및 환경의 조기진단을 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 및 의료기기 개발을 목적
으로 설립됐다.

이를 위해 분자생물공정융합기술연구단에서는 BT 기반 NT∙IT 융복합을 통한 고안정성 및 고기능 효소, 항체 등 생물공정 핵심소재 기반 기술 및 신개념 집적형 생물공정과 관련된 원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1세기에는 효소 및 항체를 이용한 바이오센서바이오칩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바이오 의약단백질 시장도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우리나라가 국제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ITNT를 BT에 접목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바이오소재의 고기능고안정화고활성화의 구현과 BINT융합기반의 고효율 집적형 생물공정개발을 통한 생물공정 원천핵심 기술을 개발해 일반 화학공정 및 생물공정 등에 확대 적용하는 것이 분자생물공정융합기술연구단의 역할이다. 따라서 분자생물공정융합기술연구단은 원천 기반 기술로서 고기능 바이오 리셉터(항체, 효소, scaffold 단백질)의 개발과 나노 기술과 바이오 소재와의 융합을 통한 고활성고기능성 나노-단백질 복합 시스템의 개발, 융합형 생물전환 공정개발, 분석 및 진단용 바이오 센서 기술 개발, 분리 정제와 연계된 집적형 동물 세포 배양 공정 기술의 개발로 구성돼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