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온라인 정치는 응원 성격 네트워크 확대에 최선

중앙선데이

입력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4·27 재·보선을 보름쯤 남겨두고 온라인에서도 선거전이 달아오르고 있다. 특히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에선 이용자들이 지지 후보에 따라 미묘한 감정싸움을 벌인다.
인터넷은 10년 전 노무현이란 비주류 정치인에게 반전의 계기를 선사했다. 지난해 6·2 지방선거 때는 휴대전화를 통한 투표 독려 캠페인이 한나라당을 궁지로 몰아넣었다. 이번 재·보
선은 스마트폰 가입자 1000만 명 시대를 맞아 치러지는 사실상의 첫 ‘소셜 선거’다. 여야는 어떤 준비를 하고 있을까.

온라인 정치의 패배. 한나라당이 분석한 지난해 지방선거의 패인이다. 그 여파로 등장한 안상수 대표 체제는 ‘젊은 층 공략과 온라인 정치 강화’를 다짐했다. 청년위원회, 2030본부, 디지털본부라는 3각 조직을 만들고 디지털본부엔 ‘수색대’란 별명까지 붙었다. 선제 대응을 하자는 취지에서다. 디지털본부 김우석(44·사진) 수석 부본부장을 만났다. 1995년 공채로 당료 생활을 시작한 그는 디지털위원장을 역임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재·보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지방선거의 패인을 트위터 때문이라 하지만 그때 SNS 가입자는 200만 계정이 안 됐다. 그런데 지금은 1000만 계정이 넘는다. 당연히 영향이 클 것이다. 선거전은 기세전이다. 트위터에서 확산된 온라인 민심이 결국 인터넷 언론이나 오프라인 매체로 퍼져나간다. 오프라인 정치가 색(色)의 정치라면 온라인 정치는 빛의 정치다. 빛이 없다면 색을 전달할 수 없다. 그러니 모두 중요하다. 전국 단위 선거가 아니라도 SNS는 응원전의 의미가 있다.”

-현재 온라인 표심은 어떤가.
“재·보선 후보를 비방 또는 지지하는 내용이 대부분이고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적 글이 많다.”

-왜 비판적이라고 보나.
“온라인상에서 민감하게 활약하는 그룹이 있는데 대체로 486세대다. 기성정치에 비판적이다. 블로그나 포털·아고라에서 활약하다 최근 소셜네트워크로 많이 옮겼다. 특히 트위터는 페이스북에 비해 익명성이 좀 더 보장되는 탓인지 비판 글이 많고 확산 속도가 강하다.”

-당 차원 대책은 뭔가.
“옛날엔 인터넷에 댓글을 다는 전문 누리꾼이 있었다. 하지만 개인 미디어 차원에서 이뤄지는 SNS 세계에선 아르바이트 고용이 힘들다. 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영향력을 갖느냐가 중요하다. 트위터라면 팔로어가 많고, 페이스북이라면 친구가 많은 사람이 ‘신뢰할 만한 콘텐트’를 보내는 게 중요하다. 결국 우리와 정보나 사실관계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얼마나 많이 갖느냐는
게 관건이다. 공개하기 어렵지만 그런 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어떤 사람인가.
“예컨대 우리 당사에 디지털 아카데미 교육장을 마련했다. 인터넷 담당자와 국회의원 부인 등을 대상으로 SNS 교육을 한다. 말하자면 이런 분들이 우리 얘기를 온라인에 전파시킨다. 당에선 콘텐트 제공을 위해 스튜디오에서 동영상을 만들고 대응 논리도 개발해 낸다. 누적 교육자가 300명쯤 된다.”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나.
“나도 직접 한다. 여러 개의 내 계정이 있고 당의 계정도 많다. SNS에 정부·여당에 대해 잘못된 사실에 근거한 불만이 올라오는 경우도 많다.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사실을 정확하게 알리면 오해를 풀 수 있다. 예컨대 쇠고기 촛불 시위 때 청와대 홈페이지에 하루 10만 건의 글이 올라왔다. 나중에 살펴보니 한 명이 1만 건을 쓴 경우도 있었다. 시의적절하게 대응했으면 이슈를 사라지게 할 수 있었다.”

-그동안 어떤 성과를 거뒀다고 보나.
“지난해 지방선거 때 한나라당은 트위터에 반응하지 못했다. 의원들의 계정 자체가 적었다. 지금은 좀 많아졌지만 야당에 비해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다. 야당은 오프라인보다 SNS에 의존한다. 한나라당은 SNS에 글을 쓰고 싶어도 부정적 댓글이 붙으니 그런 장을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 그분들이 외롭지 않다는 걸 보여주고 도움이 될 콘텐트도 제공한다.”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