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리포트] “출산후 출혈 멈추지않을 때 동맥 색전술 효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출산을 앞둔 산모는 예나 지금이나 걱정이 앞선다. 아기가 무사히 태어나도 출혈이 멈추지 않아 산모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원래는 출산 후 늘어났던 자궁이 수축하면서 혈관을 눌러 지혈된다. 그러나 자궁 이완증이 있으면 태반에 붙어 있던 혈관에서 출혈이 계속된다. 이때 산모를 살리려면 자궁을 완전히 들어내야 했다. 목숨은 건졌지만 더 이상 아기를 가질 수 없었다.

 국내 의료진이 자궁을 절제하지 않고도 산후 출혈을 멈추는 방법을 입증해냈다.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신지훈 교수팀은 2000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산후 출혈이 있는 산모 225명에게 ‘골반동맥 색전술’을 실시했다.

 그 결과 산모의 86%가 추가 치료나 수술 없이 출혈이 멈췄다. 이 시술을 여러 번 받은 산모까지 포함하면 성공률이 97.8%에 이른다.

 골반동맥 색전술은 심장의 관상동맥이 막혔을 때 하는 스텐트 삽입 중재술과 비슷하다. 방법은 같지만 색전술은 뚫린 혈관을 막는다는 점이 다르다.

 먼저 산모의 사타구니를 약 3㎜ 절개해 얇고 긴 카테터(도관)를 넣는다<그림>. 출혈이 있는 동맥을 찾아 젤라틴 물질이나 코일을 채우면 혈류가 차단된다. 이 과정은 조영제의 흐름에 따라 혈관을 관찰할 수 있는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SA) 장비를 실시간으로 보며 진행된다.

 신 교수는 “골반동맥 색전술은 자궁을 보존해 출산 능력을 유지하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자궁절제술처럼 전신마취나 개복도 필요 없다”고 말했다. 그는 골반동맥 색전술을 받은 환자 중 113명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110명은 생리가 정상적으로 시작됐고 11명은 다시 임신했다.

 이 내용은 지난달 29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제36차 미국 중재시술 영상의학회에서 발표돼 주목받았다. 골반동맥 색전술은 1979년 미국에서 처음 됐지만 이처럼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과 효과를 증명한 연구는 없었다.

 신 교수는 “출산 직후 수혈이나 약물주입·마사지 같은 처치에도 출혈이 지속되면 가능한 한 빨리 골반동맥 색전술을 하는 게 좋다”며 “이 시술이 보편화돼 산모들이 안전하게 출산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주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