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자금지원 한달째 표류

중앙일보

입력

대우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대상 12개 계열사에 대한 자금지원이 한달째 표류하고 있어 공장가동률 하락,해외 거래선 이탈등 부작용이 심각해지고 있다.

19일 금융계에 따르면 채권단은 지난달 (주)
대우등 12개사에 대한 워크아웃 방안을 확정하고 신규 운영자금과 신용장(L/C)
개설 등을 지원하기로 결의했으나 한달이 다 되도록 집행하지 않고 있다.

이는 채권단이 워크아웃 방안을 확정하면서 ‘추후 논의키로’ 단서를 단 투신권의 손실분담 확약서 제출 문제 등이 진전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투신사들은 지난 7월 대우그룹에 지원된 4조원을 손실분담 대상에 포함시킬 경우 투신권의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를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은행들은 나중에 계열사 부도등 문제가 생길 경우 손실을 투신권도 분담한다는 확약서가 제출되지 않는 한 자금을 지원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또 서울보증보험과 투신권은 보증 회사채 대지급 비율 문제에 대해 아직 합의를 이루지 못한 상태다.

이로 인해 대우 계열사들은 수입신용장 개설을 못해 현금을 주고 원자재를 수입하는 실정이며,공장가동률은 20∼30% 선으로 떨어지는 등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업구조조정위원회 관계자는 “대우의 경영정상화가 늦어지면 기업가치가 떨어져 채권단의 채권회수에도 불리할 것이므로 채권단이 조속히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렬 기자<young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