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반도체기술의 비밀은 돋보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천300년전 신라 반도체 기술의 비밀은 돋보기에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보존처리를 거쳐 최근 공개한 경주 감은사지 동탑 출토 금동사리함과 원래 여기에 장식물로 붙어있던 초미니 신라 풍탁 5개를 직접 관찰한 한국과학기술사학계의 원로 전상운(71) 전 성신여대 총장은 이렇게 평가했다.

이 신라풍탁(풍탁) 5개는 그 크기가 쌀 낟알 하나 보다 작은 길이 0.5∼07㎜,무게 0.04g에 지나지 않아 현미경을 동원하지 않고 육안으로 관찰해서는 도대체 어떻게 생겨먹은 물건인지 조차 알기 힘들다.

그런데 이 풍탁을 현미경을 통해 들여다보면 벼 낟알보다 적은 데에다가 지름 0.1㎜에 불과한 금 구슬 덩어리를 3∼4개씩 다닥다닥 녹여 붙였고 금제철사를 교묘히 넣어 여기에다가 각종 장식물을 달았음이 드러난다.

풍탁이란 바람부는 대로 흔들리면서 소리를 내는 풍경.
여하튼 금판이나 미세한 금 구슬은 어떻게든 만들었다고 치고 신라인의 시력이 현대인보다 월등히 뛰어났을 리 만무할 터인데 1천300년전 신라인은 도대체 무슨 도구를 사용했기에 이처럼 미세한 물건을 만들어낼 수 있었을까.

지난 3년7개월 동안 이 금동사리함과 풍탁 복원에 매달린 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실 강대일 연구관은 돋보기나 현미경없이는 도저히 이런 풍탁을 만들 수는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강 연구관의 이런 추정을 뒷받침이나 하듯 실물을 관찰한 전상운 교수는 "신라인들이 돋보기를 만들어 썼음은 문헌기록에도 나온다"고 말했다.

전 교수가 말한 기록이란 조선초기에 그 원본이 출판된 것으로 추정되는 「동경잡기」라는 경주지방 읍지.
여기에 보면 신라인들이 수정을 갈아 돋보기로 썼으며 이것으로 빛을 모으면 불이 나는데 그 불을 `화주''라고 했다는 기록이 나온다는 것.

비록 「동경잡기」가 조선시대에 편찬된 기록이긴 하지만 이로써 신라인들이 수정으로 돋보기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으며 이들 풍탁은 이 기록이 틀림이 없음을 증명해주고 있다고 전 교수는 말했다.

그는 "풍탁을 만든 신라의 공예기술이 놀라운 것은 사실이지만 이보다 훨씬 이전인 청동기시대에 한반도에서는 지름 20㎝에 불과한 다뉴세문경이라는 청동기물을 만들어 여기에 무려 1만3천5백개나 되는 금을 그었음을 볼 수 있다"면서 "과학기술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한국 고대사는 문헌사학자들이 보는 것과는 딴 판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