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패트롤] 대우부실 처리방안 발표에 주목할 때

중앙일보

입력

벌써 겨울의 초입에 접어드는 이번 주에는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핵심 현안 몇 가지가 한꺼번에 전기(轉機)를 맞는다.

최대 관심사는 대우. 그동안 가려져 왔던 대우그룹 주력 계열사의 실상에 대한 실사(實査)결과와 함께 정부.채권단의 처리 계획이 발표된다.

알려진 바로는 대부분 계열사에서 자산을 웃도는 부채가 적게는 수 천억원, 많게는 10조원이 넘는 천문학적 규모에 이른다는 것이다.

정확한 부실 규모는 얼마나 되며 이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그 결과가 비상한 관심을 모은다.

또 어느 곳은 살리고 어디는 어떻게 정리할 것인지, 계열사별 워크아웃(기업개선)플랜이 구체적으로 발표되면서 재계 서열 2위(자산기준)인 대우그룹의 해체 작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다.

대우 경영진의 대폭 물갈이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김우중(金宇中)회장의 거취는 초미의 관심사다. 정부.채권단 일각에서는 그의 퇴진은 물론 사법처리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으나 반대 의견도 만만찮아 귀추가 주목된다.

대우 처리와 동시에 투자신탁회사 문제를 포함한 금융시장 안정대책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부실 덩어리인 한국.대한 투신 등은 공적자금 투입을 통한 정상화의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아직도 갈 길은 멀다. 대우 계열사의 손실 분담 비율을 놓고 금융기관간 막판 진통이 예상되며, 해외채권단의 반발 때문에 계획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더욱이 정부 조치들이 대우 정상화 및 금융시장 안정으로 이어질 지도 미지수다.

하지만 이런 변수에도 불구하고 대우 및 투신사 문제에 대한 정부 대책은 한국 경제 안정의 최대 걸림돌들이 해결의 가닥을 잡는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물론 엄청난 국민 세금을 담보로 한 것이긴 하지만. 이런 조치들에 대한 금융시장의 반응도 촉각을 곤두세우게 하는 부분이다.

다행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면 11월 금융대란설(說)은 말 그대로 설(說)로 끝나겠지만, 대책이 신통찮다고 불신을 받을 경우 자칫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11월4일에는 차기 회장 선출을 위한 전국경제인연합회 임시총회가 예정돼 있다. 전경련이 재계를 대표하는 정부와의 대화창구인 점을 감안할 때 사실상 재계의 수장(首長)을 뽑는 셈이다.

현재까지는 정몽구(鄭夢九)현대 회장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정치권에선 '왜 5대 재벌 오너중에서만 회장이 나와야 하느냐' 는 비판적인 시각과 압박도 적지않은 것으로 알려져 과연 鄭회장이 중도하차한 김우중 전회장의 뒤를 이어 제26대 회장으로 선임될 지 주목된다.

김왕기 산업부잦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