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경협차관 2016년에나 모두 회수

중앙일보

입력

러시아 경협차관 17억 달러 규모의 최종 만기가17년 연장돼 2016년에 이르러야 전액 되돌려 받게 됐다.

또 원자재, 헬기를 포함한 방산물자, 과학기술 등으로 상환받되 원자재와 과학기술의 경우 공급받는 액수의 20%는 현금으로 구입해야 한다.

재정경제부는 22, 23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러시아 재무부와 협상을 갖고 이같이 잠정 결정했다고 밝혔다.

재경부 관계자는 "94∼99년 만기도래분인 원리금 16억5천만달러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동안 분할방식으로, 91∼93년에 만기에 이른 미상환액 1억달러는 2001년말까지 각각 되돌려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자율은 리보금리(런던 은행간 금리)의 변동 및 파리클럽 협의결과를 감안해 내년도 정부간 협정체결시 확정한다"고 말했다.

또 "상환품목은 원자재 50%, 헬기를 포함한 방산물자 및 과학기술 50%로 구성된다"면서 "종전과 마찬가지로 원자재와 과학기술로 상환받을 때는 공급받는 액수의 20%정도는 현금으로 지급, 러시아가 원자재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예를들어 원자재 1억달러어치를 들여올 때 80%인 8천만달러는 경협차관액수에서삭감하되 20%인 2천만달러는 한국측이 현금으로 지불하게 된다.

한편, 차관별 만기의 경우 은행차관 1차분 5억달러는 지난 5월에 이미 도래했고2차분 5억달러는 다음달 19일로 예정돼 있으며 소비재차관의 만기는 93∼94년이었으나 1억달러가 연체되고 있다.

한국 정부는 한.소 수교 직후인 91년 은행차관 10억 달러를 3년거치 5년 분할상환, 소비재 차관 4억7천만달러는 2년만기 등의 조건으로 각각 옛소련에 제공했고 이중 3억3천820만달러는 이미 원자재 등으로 상환받아 현재는 이자까지 포함해 17억5천만달러 가량이 남아있다.

이번 협상에는 한국측에서 배영식 재정경제부 경제협력국장, 러시아에서는 체브라예프 재무부 외채관리국 부국장이 각각 수석대표로 참석했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