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대북규탄 결의안 진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여야 8개 당 원내대표 등이 24일 국회의장실에서 북한의 연평도 포격에 대한 대북 규탄 결의안을 조율했다. 한나라당 김무성(오른쪽),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가 결의안을 협의하기 앞서 인사를 나누고 있다. [김경빈 기자]

여야가 24일 국회 본회의에서 북한의 연평도 공격을 규탄하는 대북 결의안을 채택하려다 실패했다. “북한의 공격을 규탄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한다”는 큰 틀에는 합의했지만 일부 내용과 소관 상임위를 두고 이견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의화 국회 부의장은 오전 한나라당 김무성·민주당 박지원·자유선진당 권선택·미래희망연대 노철래·민주노동당 권영길·창조한국당 이용경·진보신당 조승수·국민중심연합 심대평 원내대표 등 여야 8개 정당 원내대표와 긴급 모임을 열고 결의문 채택 문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김무성 원내대표는 “오늘 국방위에 상정하고 오후에 본회의에서 통과시키자”고 했다. 그러나 박지원 원내대표는 “오늘 외교통상통일위에 상정하고, 내일 본회의에서 처리하는 게 좋다”고 했다. 북한을 규탄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내용만 담을지(한나라당 등 5개 정당), 남북 정부에 ‘항구적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는 내용까지 넣을지(민주·민노·진보신당)를 놓고서도 의견이 갈렸다.

 결국 이날 오후 국방위에서 민주노동당을 뺀 7개 정당이 참여해 대북 규탄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그 누구도 한반도 평화를 해치는 행위를 해선 안 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한나라당은 이 결의안을 25일 본회의에서 처리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민주당이 한때 이에 부정적이었으나, 저녁 무렵 25일 오후 의원총회를 거친 뒤 표결에 참여키로 입장을 바꿈에 따라 결의안의 통과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 여야 지도부는 이날 희생 장병 합동장례식장이 마련된 경기도 성남의 국군수도병원을 찾아 조문하고 연평도 피해 현장을 방문했다. 연평도를 지역구로 둔 한나라당 박상은 의원도 “가능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내용의 개인성명을 냈다.

글=선승혜·허진 기자
사진=김경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