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모든 피해 북 책임” … 이회창 “북 해안포 격파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북한의 연평도 공격 소식이 전해지자 국회 활동도 중단됐다. 정의화 국회부의장과 여야 원내대표 등은 23일 오후 긴급 모임을 갖고 예결위와 정보위 등 상임위를 중단한 뒤 국무위원들을 각 부처로 돌려 보냈다. 민간인 불법사찰과 ‘대포폰’ 문제를 둘러싸고 대치 중이던 여야도 휴전을 결정했다. 서울광장에서 천막농성을 벌이던 민주당 손학규(사진 왼쪽) 대표는 당분간 장외투쟁을 보류키로 하고, 천막도 철거했다. 여야는 모처럼 한목소리로 북한의 공격을 규탄했다.

한나라당 안형환 대변인은 “충격과 우려를 넘어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했다. 민주당 차영 대변인도 “민주당은 어떤 경우든 무력 도발행위와 비인도적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3대 권력세습에 침묵했던 민주노동당에서도 “강력한 유감을 표시한다”(우위영 대변인)는 목소리가 나왔다.

 각 당은 긴급회의와 의원총회를 여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다. 당초 29일까지 ‘대포폰’ 문제에 대해 국정조사와 특검을 요구하며 24시간 철야농성을 벌이려 했던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국회로 돌아와 회의를 주재했다. 손 대표는 “포격으로 인한 인명피해 등 모든 책임은 북한이 져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자유선진당은 북한에 대한 무력 대응을 촉구했다. 이회창(오른쪽) 대표는 “명백한 전쟁 도발 행위에 대한 초동 대응은 상대방의 공격을 압도할 만큼 강력한 반격이어야 한다”며 “공격 거점인 해안포 진지를 완전히 격파시키는 조준 사격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확전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는 소식을 듣고 “대통령으로서 잘못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선승혜·허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