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100대 기업과 비교해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삼성전자는 우리나라 대표 기업이다. 하지만 미국의 대표적 월간 경제지인 포춘이 선정하는 '세계 500대 기업'안에서는 54위(2003년 매출 기준)다.

한국 기업 중 포춘 100대 기업에 드는 곳은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98위) 등 두 곳 뿐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 기업들이 크게 성장했지만 세계 정상급 기업들과 어깨를 겨루기에는 아직은 덩치가 작다. 삼성경제연구소가 11일 내놓은 '한국기업 성장 50년의 재조명'이라는 보고서는 국내 100대 기업과 글로벌 100대 기업의 경영성과를 비교했다.

◆몸집은 세계기업의 9분의 1=한국 100대 기업의 지난해 평균 매출액은 58억달러 규모다. 포춘 선정 글로벌 100대 기업의 525억달러의 11% 수준이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업종 기업의 평균 매출이 93억 달러로 글로벌 기업의 7분의 1을 기록해 격차가 가장 적었다. 반면 음식료 업종의 경우 33분의 1 밖에 안됐다.

종업원 수는 더 차이가 난다. 한국 100대 기업의 종업원 수는 평균 6943명으로 글로벌 기업(18만6992명)의 27분의 1 수준이다.

인력을 적게 쓰는 대규모 장치 산업의 비중이 높은 데다 기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인력을 줄였기 때문이다. 또 국내 기업의 '평균 나이'는 36년이다. 글로벌 기업의 102년에 비해 크게 젊었다. 국내 기업의 평균 연령은 외환위기 이후 다수의 기업이 몰락하면서 1995년의 41년보다 5년이 더 젊어졌다.

◆수익성 앞서나 부채비율 높아=한국 기업의 지난 5년간 평균 매출증가율은 14.2%로 글로벌 100대 기업의 13.5%보다 다소 높았다. 국내 기업의 제조업 성장률은 높았지만 서비스와 금융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소 측은 "세계 산업의 조류가 지식서비스화하고 있다는 점에 비춰볼 때 국내 서비스산업의 성장률이 낮다는 것은 우려되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수익성도 국내 기업이 다소 앞섰다. 매출액 대비 순이익률은 6.7%로 글로벌 기업의 5.4% 보다 높았다. 그러나 부채비율은 국내기업이 180%로 글로벌 기업(106%)보다 높았다.

업종 분포를 보면 한국 기업은 제조업 중 전기전자(17.7%)의 비중이 높은 반면 글로벌 기업은 화학(20.8%) 비중이 높았다. 글로벌 100대 기업에는 정유사가 12개나 포함됐고 특히 헬스케어 3개사, 엔터테인먼트 1개사도 이름을 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 환경에 노출되면서 기업 생태계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현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