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비즈 칼럼

이젠 관광상품을 수출하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권희석
하나투어 대표

하나투어는 2000년 11월 국내 여행사로는 처음으로 주식시장에 상장했다. 10년이 지난 지금은 상장된 여행사만 10개가 된다. 관광·여행업도 나름 ‘산업’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 같아 뿌듯하다. 요즘 나는 업계 선두두자로 의무감에 쌓여 있다. 요컨대 어떻게 해야 ‘여행업계의 애플’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애플은 직접 아이폰을 만들지 않는다. 나이키도 운동화를 만들지 않는다. 강력한 브랜드, 촘촘한 네트워크가 있어 가능한 일이다. 관광산업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꼭 관광자원의 우위에 있지 않더라도 ‘관광 선진국’이 될 수 있다. 애플과 나이키가 공장을 가지고 있지 않은 채 세계 최고가 된 것처럼 말이다.

 생각을 조금 바꿔 보자. 애플과 나이키 처럼 관광사업자도 반드시 호텔을 짓고, 관광지를 개척하라는 법이 없다. 중국의 관광자원, 일본의 호텔을 우리의 브랜드로 만들어 제3국에 판매할 수 있다면? 중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제3국으로 여행하는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면?

 훌륭한 여행지를 한두 곳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 나라가 관광산업 주도권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자꾸만 새로운 볼거리를 찾기 때문이다. 결국 이런 고객들과 꾸준히 관계를 맺고 다양한 상품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여행사가 주도권을 쥘 수밖에 없다. 한국에 들어오는 외국인 단체 관광객들이 타고 다니는 버스를 보라. 어느 것 하나 한국 여행사의 이름이 붙은 것이 없다. 이름은 ‘한국 관광’인데 JTB나 HIS 같은 일본·중국 여행사에서 만든 상품이다. 한류나 음식·체험 여행 등 우리가 내세우는 주요 관광자원까지도 일본 여행사가 기획하고 한국 여행사가 하청을 받는 방식이 다반사다.

 그러면 관광산업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핵심 경쟁력은 무엇일까. 어디에 투자해야 하는가. 나는 사람이 아닌가 싶다. 한국에는 150여 대학에 관광 관련 학과가 있다. 매년 수천 명의 졸업생이 쏟아져 나온다. 우리가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인적자원과 판매 네트워크다.

 지금까지 국내 관광산업을 바라보는 관점은 내국인을 내보내느냐(아웃 바운드), 외국인들을 국내로 불러들이느냐(인 바운드)에만 국한돼 있었다. 이제는 관광산업을 국내에 한정된 편협한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판을 더 크게 봐야 한다.

 한국 관광산업은 이제 ‘목적지’가 되려는 사고에서 벗어나 ‘전략적 경유지’로서 매력을 부각시켜야 한다. 기술력과 브랜드, 판매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우리의 무한한 상상력과 기획력, 스토리를 바탕으로 관광상품을 만들고 이를 전 세계에 판매할 수 있다. 우리는 그 상품의 로열티를 받게 되는 것이다. 그 시장을 한국으로 한정지을 필요는 없다. 중국에서 좋은 호텔을 짓고, 관광지를 만들어 놓으면 우리 인재들이 이를 브랜드화해 상품을 기획·운영하고, 전 세계에 판매하는 것이 더 현명하지 않을까.

 애플 아이폰의 뒷면을 보면 ‘Designed by Apple in California, Made in China’라는 문구가 있다. 관광산업에서도 상품의 ‘기획과 디자인은 한국에서, 관광지는 전 세계에서’ 공급되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관광산업의 진정한 세계화가 될 것이다.

권희석 하나투어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