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의 앞두고 양대 노총, 정반대 지침 내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장석춘 한국노총 위원장,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왼쪽부터)

다음 달 11일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의 두 노총이 정반대 방침을 정했다. 한국노총이 정상회의 기간 전후에 집회를 전면 중단키로 한 반면 민주노총은 국제노동단체 등과 연대해 대규모 시위를 벌인다는 것이다.

 한국노총 양정주 대외협력본부장은 18일 “G20 정상회의는 국가적 대사로 성공적으로 개최돼야 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가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다른 나라에서 벌어졌던 것과 같은 불상사로 얼룩져서는 안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장석춘 한국노총 위원장은 정상회의 기간 중 시위 불가 방침을 최근 간부회의를 통해 시달했다. 다음 달 9일에는 국제노동기구(ILO)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경제위기 이후 미래 고용전략에 관한 국제정책 세미나’도 열 계획이다.

 이에 반해 민주노총(위원장 김영훈)은 이달 30일부터 다음 달 12일까지를 G20 투쟁기간으로 선포했다. 다음 달 7일 G20규탄 전국노동자대회, 10일 G20규탄 촛불문화제 등에 4만여 명의 조합원이 참여한다고 예고했다. 정상회의 당일(11일)에는 ‘G20규탄, 금융자본 통제, 노동운동 탄압분쇄 투쟁의 날’ 집회를 연다. 일부 행사에는 미국노총 등 국제노동단체도 합류할 예정이다. 경찰은 해외 원정 시위대가 500여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반대와 노동 권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해외 원정대와 일부 단체 회원이 폭력시위를 벌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고 있다”며 “폭력시위에 대해선 엄정하게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국제노동단체는 G20 정상회의 때마다 격렬한 연대 시위를 벌였다. 올 6월 제4차 G20 정상회의가 열린 캐나다 토론토에서는 노동단체와 비정부기구(NGO) 소속 1만여 명이 은행과 상점을 공격했다. 지난해 4월 영국 런던 G20 정상회의에서는 시위대가 영국중앙은행(BOE)으로 몰려가 시민 1명이 숨지고, 부상자가 속출했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두 회의에 대표단을 파견했었다.

김기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