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칼럼] 달라진 중국시장 대처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중국의 지형이 새롭게 바뀌고 있다. 홍콩의 지식서비스 역량과 대만의 정보기술(IT)이 ‘세계의 공장’ 중국 대륙에 더해지고 있다.

최근 중국 내 외자 기업들을 긴장시키고 있는 가파른 임금 상승도 지형 변화의 하나다. 성장 지상주의를 누그러뜨리며 ‘조화사회’의 기치를 들고 집권한 현 후진타오의 통치이념, 빈부격차를 완화해야 할 필요성, 서구가 중국에 지우는 저가(혹은 덤핑) 수출의 혐의와 무역불균형 개선 압력, 발전된 동남연해 지역의 생계비 상승, 내륙 농촌의 소득 개선에 따른 외지 노동자의 유입 감소…. 이런 중층적 이유들로 인해 중국의 임금 상승은 비록 그 속도는 바뀔 수 있으나 불가피한 추세다.

이는 중국 연해지역이 더 이상 값싼 제조기지가 아님을 뜻한다. 더불어 연구개발(R&D) 만 한국에 남기고 제조 기능은 모두 중국으로 이전한다는 ‘쌔끈한’ 전략도 녹슬 수 있음을 암시한다. 중국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하는 곳은 또 있다. ‘중국은 한국의 응용기술을 원하고 한국은 중국의 기초과학 지식이 필요하다’는 생각과, 같은 맥락에서 ‘한·중 윈-윈 전략은 손쉽게 구현될 것’이라는 순진한 믿음이 그것이다. 중국의 기초과학은 의외로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뒤처진 반면, 산업화 가능성이 높은 첨단기술은 이미 주요 영역에서 한국을 추월했다.

이처럼 뒤바뀐 세상에서 우리는 어떻게 길을 찾아야 할까. 우선 우리의 강점을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중국에 대한 한국의 가장 큰 강점은 기업의 경쟁력이다. 이는 경영자의 기발한 전략과 과학자의 기초연구만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다. 산업현장에서 갈고 닦은 달인들의 노하우와 노동자들의 협업 속에서 발휘되는 집단지성의 역할도 크다. 따라서 제조업을 이전할 곳을 찾는 데 급급해하지 말고 우리의 산업현장을 더 유연하고 똑똑하게 만들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제조업 노동에 대한 폄하와 적대적 투쟁은 답이 아니다.

둘째, 중국의 과학기술 동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과학기술 발전에 매우 적극적이다. 선진국에 있는 중국인 과학자들도 그에 조응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중국뿐 아니라, 미국 등에서 활동하는 중국인 과학자들과의 연계를 강화하며 미래 중국발 특수가 있을 영역에서 우리가 경쟁력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은종학 국민대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