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표 "정수장학회 이사장 이미 사의 표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3일 국가정보원이 7건의 과거사를 우선 조사대상으로 선정한 가운데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정수장학회 이사장직에 사의를 표명했다. 또 과거사 조사를 둘러싸고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에서 다양한 반응이 나오고 있다.

-정수장학회 이사장 사퇴 의사 전달-

박근혜표는 3일 “이미 지난 1일 (정수장확회 이사회에) 이사장직 사퇴의사를 전달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날 오후 충북 제천에서 열리는 당 소속의원 연찬회에 참석에 앞서 의병장 유인석 장군 사당인 자양영당을 방문한 자리에서 국정원 과거사위의 정수장학회 문제 등에 대한 조사착수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 “정수장학회 정기 이사회가 2월말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 대표는 이어 “국정원 조사와 관계없이 지금까지 여러번 정기 이사회에서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한 바 있다”고 부연했다.

박 대표는 “여당에서 예전에 이것(정수장학회 이사장직 유지)을 문제삼았을 때 갑자기 물러나면 잘못이 있는 것처럼 비쳐질 수 있기 때문에 정기이사회 때 입장을 표명하겠다고 한 것”이라면서 “(정수장학회 문제는) 개인 차원이 아니라 법원에서 밝혀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연찬회에서 정수장학회 이사장 사퇴서를 이미 제출했다는 점을 밝히고 향후 과거사 문제에 당당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표는 이어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국정원 과거사위의 정수장학회 문제 조사방침에 대해 “국정원이 이런 일을 조사하는게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위원들이 과연 이런 문제들을 공평하게 판단할 위치에 있는지, 어떤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인지, 그 때 무슨 일을 했는지에 대해 언론이 먼저 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저는 이런 일을 처음 겪은 것이 아니라 지난 30여년간 겪어왔다. 그러나 이번 처럼 정권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한 것은 처음이다”면서 “정권과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이렇게 한다고 하는데 막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저는 역경을 이겨내고 앞으로 꿋꿋하게 이겨낼 것”이라면서 “정권이 이렇게 하는 것에 대해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해 국민여론을 바탕으로 과거사 문제에 정면대응할 뜻임을 내비쳤다.

이어 박 대표는 “어떤 정권도 국민의 판단과 역사의 판단을 비켜갈 수 없다. 국민도 평가할 것”이라면서 “정부가 공권력을 동원해 인권탄압과 권력남용에 대해 조사를 한다고 하는데 과거사를 조사하는 것 자체도 곧 과거사가 된다”고 지적했다.

-관련 시민단체는 환영-

시민.사회단체들은 일단 환영의 뜻을 밝히며 무엇보다 철저한 진상규명을 통해 진실이 밝혀져야하는 만큼 향후 조사 과정과 결과가 더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창수 올바른 과거 청산을 위한 범국민위원회 정책실장은 “일단 7개 사건이 우선조사대상으로 선정된 것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일”이라면서도 “실제 얼마나 진실이 밝혀질지, 조사 결과를 정치권을 포함한 국민들이 얼마나 납득할지는 더 지켜봐야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 실장은 또 “국정원이 개입된 모든 의혹사건은 권력을 가진 정보기관의 특성상 정치적 성격이 짙을 수밖에 없다”며 “일각에서 제기하듯 '3공화국 죽이기’, '박근혜 죽이기‘란 시각은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인혁당 사건이나 KAL기 폭파사건의 경우 국정원 조사만으론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며 생명권을 침해당한 피해자와 유족들의 보상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이 조사가 진행되는 만큼 향후 출범할 과거사 진상규명위원회와 업무영역이 조절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차옥정 KAL858기 가족회 회장은 “늦었지만 기대했던 일이며 일단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것은 긍정적”이라며 “향후 조사 과정이 어떻게 진행될지 주의 깊게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김덕진 천주교인권위원회 간사는 “국정원에서 민간위원들과 함께 이런 일을 한다는 것을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그러나 민간위원들이 들러리가 되거나 국정원에 면죄부를 주는 결과가 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의 전례에 비춰볼 때 관련 기관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양심 고백 없이는 진실의 실체 규명이 어렵다”며 “국정원 스스로 이번 조사를 면죄부로 삼으려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협조해 피해자들의 억울함을 풀고 명예가 회복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센터,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