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반쪽 연장' 하나마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서울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사업들이 삐걱거리고 있다. 어젯밤부터 시작된 지하철 한시간 연장 운행은 서울시내 구간에만 시행돼 '반쪽'에 그쳤고, 시청앞 광장 조성은 시의회의 제동으로 내년 예산이 전액 삭감됐다. 시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업들을 놓고 서울시가 관계기관 간 사전 조정이나 충분한 이해 관계자의 설득 없이 밀어붙이기로 추진하다 시정 운영에 차질을 빚은 셈이다.

심야 활동 인구가 날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지하철 한시간 연장 운행은 시민생활의 불편 해소를 위해 꼭 필요하다. 시민 86%의 지지를 받고 있지만 지하철 근로자의 근로조건 변화에 따른 인력 증원·수당 지급, 안전운행 문제 등을 둘러싸고 노조와 이견이 커 그동안 협상에 진통을 겪어왔다. "노조의 무리한 요구에 끌려다닐 수 없다"는 서울시에 노조는 "안전운행을 장담할 수 없다"며 대립해왔다.

운행구간이 서울시내로 한정돼 효과도 반감되는 연장 운행을 과연 서둘러 강행해야만 했는지 잘 이해되지 않는다. 한달여의 협상이 결렬됐다고 일방적으로 연장운행을 결정한 서울시도 문제지만 한꺼번에 너무 많은 것을 얻으려는 노조의 자세도 곤란하다. 비노조원 등을 운행에 투입하고도 시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지, 비상인력으로 과연 언제까지 심야운행이 가능할지 걱정되는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지하철은 서울 도심과 수도권 도시를 잇는 시민의 발이다. 날씨는 추워지고 교통이 끊기는 상태에서 시민의 발은 움직일 수가 없다. 비록 노사 간 협상기간이 짧아 충분한 협의를 못했다 해도 지하철 연장을 하겠다면 지금이 적기다. 노사가 다시 모여 한발짝씩 양보하면서 정상운행에 중의를 모아야 한다. 지하철 반쪽 연장은 오히려 시민의 불만을 키울 수 있다. 지하철 심야운행의 정상화에 노사가 힘을 합쳐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